[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대한반려동물협회 김종우 회장은 3년 과정의 박사학위 과정을 거쳐 지난 14일 미국 캐롤라인대학교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학위 논문 제목은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Pet Consultation Manager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Pet Industry’(반려동물산업 활성화를 위한 펫상담매니저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반려동물 연관 산업 4개 분야의 펫 서비스 품질과 펫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한 후, 펫 상실 및 펫 애착과 펫상담매니저 이용 의도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반려인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연구대상자의 67.6%는 개를 양육했고, 36.2%는 고양이를 양육하였으며, 그 외 반려동물은 전체 대상자의 10% 이하였다.
연구대상자의 94.2%가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인식하였으며, 49.0%가 반려동물에 대한 상실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5.5%만이 상담의 경험이 있었다. 그러나 상담을 경험한 대상자는 상담 후 긍정적인 효과(평균 3.47, 5점 척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논문 일부 내용)
〔연구모형〕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펫 양육자 중 상실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은 주로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상담을 받았으며 전문 상담자에게 상담을 받는 경우는 비교적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펫 산업의 서비스품질은 펫 푸드와 펫 헬스 케어 영역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 수준이 높으나 펫 케어와 펫 테크 영역에 대한 서비스 수준은 매우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펫 산업 서비스품질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 만족 간의 관계에서 펫 푸드는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고, 이에 반해 펫 상실 경험자는 부정적인 수치가 나타나 이에 대한 불만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펫 케어와 펫 테크에 대해서 고객만족의 향상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특히 펫 케어에 대한 영향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이 부분에 대한 서비스 품질 향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넷째, 펫상담매니저는 다소 생소한 용어이자 직업이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펫 상담매니저 이용의향 수준은 상대적으로 강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펫 상실을 경험한 연구대상자는 펫상담매니저를 이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고,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이 낮은 대상자들은 보다 충실한 데이터 기반의 보살핌을 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 산업으로 활성화 방안이 제시된 펫 산업은 향후 새로운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어 펫을 케어하는 다양한 산업이나 직업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펫케어와 펫 테크에 대한 발전이 매우 필요하며, 다양한 상담이나 비즈니스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펫 산업의 변화 발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그 연구의 공헌도가 크다.
연구의 조절효과분석의 경우는 애착 수준에 따라 평균이상 그룹(High)과 평균이하 그룹(Low)으로 구분하였고, 상실여부는 상실경험유무에 따라 다중집단분석에 의한 대응별 모수비교를 통해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상실과 애착 발췌 일부 내용)
펫 애착 여부에 따른 상실 수준 차이
평균 | 표준편차 | n(%) | t(p) | |
펫 애착 수준(Low) | 3.08 | .20 | 254(50.8) | -32.163***(.000) |
펫 애착 수준(High) | 3.67 | .21 | 246(49.2) | |
*p<.05 **p<.01 ***p<.001 |
상실 경험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
비표준화 경로계수 | 표준오차 | 표준화 경로계수 | C.R. | p | Δχ2(1) | ||||
펫상담매니저 이용의도 | ← | 고객만족 | 유 | .245 | .065 | .250 | 3.758 | .000 | 2.135(.144) |
무 | .112 | .063 | .115 | 1,758 | .078 |
“펫상담매니저” 반려동물의 생애 주기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반려인과 가족이 겪는 정서상태를 분석하고, 심리상담을 적절한 조언으로 제공하고 수행한다. 인재 양성을 위해 정부 유관기관과 학교에서 교육(반려동물종합관리사,펫상담매니저,반려동물산업관리자)을 통해 지역 경제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센터 창업도 가능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