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미 시집 ‘자클린의 눈물’ 발간해

손영미 시집 ‘자클린의 눈물’ 발간해

– 상처적 국면을 진정성 있게 다루면서 미학적 측면을 놓치지 않는 시편들

– 손영미의 첫 시집 『자클린의 눈물』더푸른시인선으로 발간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2021년 《열린시학》 신인작품상으로 등단한 손영미 시인이 첫 시집 『자클린의 눈물』을 더푸른시인선 007번으로 발간한다. 손영미는 등단 당시 “세계에 응전하는 유폐된 자의식을 끝없이 탐구한 작품들을 쓰고 있었는데, 현실의 불모성이 가진 횡포와 양상에 대응하는 시 세계가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평을 들은 바가 있다. 등단 이후에도 상처적 국면을 진정성 있게 다루면서 미학적 측면을 놓치지 않는 시 쓰기를 선보였던 시인이 그동안의 발표작과 신작시를 모아 『자클린의 눈물』을 구성했다.

표제시 「자클린의 눈물」의 경우 자클린과 화자가 동시성을 가지고 현존하는 고통을 음악적 기표를 통해 표출한다. “슬픔의 원본”으로써의 자아가 “활로 심장을” 켜는 비극을 감내하는 장면이 밀도 있게 전개된다. 그런 와중에도 예술가적 본능이 발현되어 “세상의 모든 미물들이 눈을 뜨고 입을” 여는 예술적 동일화를 이루어 울림의 폭을 넓힌다. 이 시에 나타난 전개 과정처럼 손영미는 끝없이 미학적 상황이나 작품이 어떻게 ‘지금-여기’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의미를 부여하고 현존성을 갖게 하는지를 시적으로 형상화한다.

해설을 쓴 황치복 평론가는 『자클린의 눈물』을 ‘페시미즘의 비전과 극적 전환의 시적 미학’으로 분석했다. “페시미즘pessimism, 혹은 염세주의厭世主義는 세계가 불합리하고 비애로 가득하며, 행복은 덧없는 일시적이라고 보는 비관적인 세계관”이다. 그 세계관에 따라 “시집을 펼치면 시적 공간이 온통 회색빛의 비전으로 가득 차 있는데, 도저한 페시미즘의 파토스가 불안과 추락의 페이소스를 조장한다. 모든 관계는 깨어지기 마련이고, 결국 모든 존재자는 몰락과 종말을 맞이할 것이라는 묵시록적 비전이 시편들을 수놓고” 있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시집 중간 부분부터 작은 틈으로 비치기 시작한 햇빛”이 “점차 그 농도를 진하게 하고 영토를 넓”혀 “시집 후반부에서는 따듯한 사랑의 언어가 시적 공간을 장악”하는 묘미를 발휘하고 있다고 언술했다.

해설에서 언급한 것처럼 『자클린의 눈물』은 현실의 불모성을 염세주의적 세계관으로 다루면서 중간 중간 ‘사랑의 언어’로 시적 공간을 채우는 노련한 시적 전략을 갖는다. 회색빛으로 가득한 먹구름을 뚫고 쏟아지는 빛처럼 ‘사랑의 언어’가 독자들에게 따뜻한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특히 어머니에 대한 시편들은 보편적 감정과 개별적 감정이 어우러져 울림과 떨림을 오래오래 안겨줄 것이다.

또한 진정성과 미학성을 동시에 융합시킨 작품들을 감상하고 싶은 독자들에게 『자클린의 눈물』은 의미 있는 읽을거리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사진=손영미 시집 ‘자클린의 눈물’ ⓒ강남 소비자저널

 

[▼책 구매 바로가기]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8780725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