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비영리단체 창업경영포럼(의장 이승목, 이하 창경포럼)은 지난 2023년 8월 3일자로 구글로 부터 비영리기관 인증을 획득했다.
지난 20일 늦은 밤, 금천구 소재 창경포럼 서버실 근처에서 이승목 의장을 만났다.
그동안 있었던 일에 대해 많은 대화를 나눴다.
2009년 경기도 과천(경기도 과천시 대공원대로 29번지)에서 창업경영포럼(이하 창경포럼)을 비영리단체로 출발시켜 그동안 많은 일들을 해 왔다. 그 중 약 15년 후인 2023년 8월 2일, 구글로부터 비영리기관 인증을 받는 쾌거를 올렸다.
구글 하면 검색엔진만 있는 게 아니라 g-메일(***@gmail.com), 구글 드라이버, 워크스페이스 등 많은 것이 있는데, 창경포럼이 구글로부터 비영리기관 인증을 받아 1차로 100 테라바이트 무상 클라우드 사용 권한(앞으로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 할 수 있음)을 받았을 뿐 아니라, g-메일 대신에 창경포럼 단독적으로 ***@moimland.com을 자체적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게 됐다.
세계 최고의 플랫폼 회사인 구글로 부터 인증을 받았다는 것은 곧 전세계 구글러들과 함께 할 수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구글로 부터 공식적으로 인증을 받았을 때 사용했던 ‘모임랜드(moimland.com)’라는 단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우리말 ‘모임’과 영어 ‘land(땅)’의 합성어로 같은 뜻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 공간’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
‘카페지기’ 전국 휩쓸어
다음 커뮤니케이션에서 만든 ‘카페지기’가 그것이다.
한 때 즉, 2000년대 초반 부터 10여년 동안 ‘카페지기’가 온라인은 물론 오프라인 모임에 이르기 까지 전국을 휩쓸었다.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도 전국 식당마다 각 동호인들이 ‘~~카페’라는 현수막을 벽에 붙여 놓고, 자신들의 카페가 중요하기에 결속력 있게 모임을 자발적으로 주도해 나갔다.
이렇게 열광하게 된 데는 분명 역사적으로 과거에 우리나라의 ‘모임 DNA’가 있었을 것이다.
두레, 향약, 품앗이 정신, ‘모임랜드(moimland)’로 새옷 입고 세계로 나간다
‘모임’을 통해 과거 우리나라에서 수천 년 전부터 전해 내려오고 있는 시스템인 두레¹, 향약², 품앗이³가 있다.
이런 세계 최고의 공동체 시스템이 있었기에 카페지기의 열풍이 이해가 간다.
오늘 주목할 단어는 ‘모임랜드(moimland)’다.
한글 ‘모임’을 영어로 표현한 ‘Moim’을 주목하고자 한다.
영어 표기는 발음기호 없이는 읽기가 무척 어렵다.
‘Mom/Mommy’를 ‘몸’, ‘모미’라 발음하지 않고 ‘맘’, ‘마미’라 발음하며, ‘K-POP’은 ‘케이폽’이라 발음하지 않고 ‘케이팝’이라고 발음한다.
발음기호가 그렇다.
그런데 ‘moim’은 어떤가?
‘oi’가 이중모음이기에 ‘마임’이 아니라 ‘모임’이라고 발음하면 그만이다.
‘모임랜드(moimland)’ 전세계인의 입에 오르내릴 날 머지않아
즉, 한글 단어 ‘모임’을 영어 단어 ‘land’와 합쳐 ‘모임land’, ‘moimland’로 발음하는 것이 어색하지 않고 아주 자연스레 발음이 된다. 나아가 우리나라 사람은 ‘모임랜드’로 발음 할 것이고, 미국을 포함한 영어권 사람들은 ‘모임랜’으로 발음할 것이다. 마지막 철자 d(ㄷ)가 무성음이기 때문에 그렇다.
‘모임’이라는 단어가 phonetic orthography(음성 철자 법) 또는 phonetic spelling words(음성 철자 단어)에 따르고 있어, 발음기호가 없어도 영어 철자를 아는 전 세계인 누구나 쉽게 따라 발음할 수 있다. 쉽게 말해서 단어와 발음기호가 똑 같다는 얘기다.
이는 창경포럼이 그동안 숱하게 강조해 온 ‘범용성과 확장성’에 딱 맞아 떨어진다.
또한 음성학 적으로도 매우 중요한데 ‘모임’에서 ‘임’자를 발음 하면 끊기지 않고 ‘임~~~~~~~~~~’하고 숨이 멎을 때 까지 길게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도했던 의도하지 않았던 선택을 아주 잘 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맺음말 : 창경포럼은 공식적으로 구글로 부터 비영리기관 인증을 받음으로 많은 협·단체와 함께 할 수 있게 됐을 뿐 아니라, 지난 15일(화) ‘모임랜드 토큰(moimland token)’을 탈중앙화 거래소인 ‘팬케이크스왑(PancakeSwap)에 상장함으로써 또 한 번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큰 박수를 보낸다.
‘모임랜드 닷컴(moimland.com)’, ‘모임랜드 토큰(moimland token) 등 앞으로 ‘모임랜드(moimland)’의 활약상이 기대된다.
가입문의는 국번없이 1688-9759, https://pf.kakao.com/_fCzxjC/chat
▼아래 단어 뜻 출처 : 네이버 검색
두레¹ : 농민들이 농번기에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부락이나 마을 단위로 만든 조직
향약² : 조선 시대에, 권선징악과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만든 향촌의 자치 규약
품앗이³ : 마을 공동체에서 힘든 일을 서로 거들어 주면서 서로 간에 품을 지고 갚고 하는 일
글쓴이 : 김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