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연재, 칼럼, 논평, 사설, 시 > [탁계석 칼럼] > [탁계석칼럼]K-콘서바토리, ‘학력(學歷)’ 아닌 ‘생업(生業)’을 지향하죠

[탁계석칼럼]K-콘서바토리, ‘학력(學歷)’ 아닌 ‘생업(生業)’을 지향하죠

[탁계석칼럼]K-콘서바토리, ‘학력(學歷)’ 아닌 ‘생업(生業)’을 지향하죠

[탁계석칼럼]K-콘서바토리, ‘학력(學歷)’ 아닌 ‘생업(生業)’을 지향하죠

고정관념 탈피해 창의와 현장성 높이는 교육 필요

강사법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변화는 무엇일까. 대학이 재정 감축을 위해, 대학의 생존을 위해,좋은 취지의 강사법을 왜곡하여 꼼수로 일관하고 있다. 교육부는 학내 문제에 간섭할 입장이 못된다며 한발 물러 선 상황이어 서 막막하다.

일부에서는 대학 당국에 항의하고 데모를 하지만 기류를 꺾는 것에는 회의적이다. 따라서 대안 모색이 시급하다. 특히 예술계는 고학력 박사 취득자뿐만 아니라 오랜 유학에서 콩쿠르 등 국제 입상 경력의 탁월한 예술인재들이 설자리를 잃게 된 안타까운 상황이다.

정부가 더 재정을 늘려 대학을 설득해야 하지만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개인 레슨을 찾아 아카데미를 만들거나 소공연장을 꾸며 아마추어 합창단을 운영하는 등의 각자도생(各自圖生)의 길을 가고 있지만 결코 쉽지 않아 보인다. 한마디로 모든 자격증과 콩쿠르 등의 실력이 무효화된 듯한 이 참담한 현실 앞에서 예술로 밥을 먹고 생존을 이어가야 하는 것이 오늘의 참으로 무거운 과제다.

기존의 자격증은 없지만 무대와 생활이 되는 학교

그래서 K-클래식조직위원회는 그 대안(代案)으로 산하에‘K-Conservatory’를 두고 연주로 생존(生存)하는 새로운 컨셉의 목표를 지향하는 학교를 운영하려고 한다. 물론 정부나 교육부가 인증하는 자격증이 없는 학교다. 그러나 연주를 통해 자존감과 명예, 생존의 기초적인 것들을 해결할 수 있는 비르투오조(Virtuoso)를 지향함으로써 공연 시장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관객을 문화소비자로 보며 새로운 개척에 나서려고 한다.
자율(自律)과 창의(創意), 한국 음악가로서의 정체성 확립, 이를 위한 독창성과 차별성 강화. 국악과 양악의 통섭, 창작품과 연주법 개발, 인성 도야(陶冶), 멀티 교육 등으로 딸랑 연주 기술 하나에만 의존한 형태에서 벗어나 변화를 실천하는 교육이 되도록 할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서구에서 배워 올 때 대부분의 음악가들이 콘서바토리에서 배워왔듯이 종합대학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이제야 말로 진정한 예술교육을 실현할 기회가 왔다는 역발상을 가능케 한다.

그것은 예술이 강사, 교수 자리로 귀착(歸着)되는 아카데미즘의 고정관념에서 탈피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현장 중심의 프로아티스트가 되기 위해 K-콘서바토리는 다방면의 전문가들의 토론과 집중적인 연구로 하나씩 그리고 천천히 실행해 나갈 것이다.

 

 

김은정 대표기자
김은정 대표기자
강남구 소비자저널 발행인(대표), 대표기자로서 소비자평가/인물정보/통계발표/Goodboard 순위 발표 등 각 분야별 인물정보와 소비자평가 소식, 칼럼 등을 보도하고 있으며, 100개국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해외로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