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창적 K 콘텐츠 가질 때 김구 선생께서 꿈꾸셨던 문화 강국!! 환경이 다르면 운동도 지향점도 달라야 한다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엘 시스테마(El sistema)는 세계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동의 상징이자 대표적인 브랜드입니다. 1975년 베네수웰라에서 경제학자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박사에 의해서 시작된 엘 시스테마는 음악의 사회적 기여, 즉 마약과 총을 든 아이들을 구제하기 위해 만든 음악운동입니다. 여기서 구스타보 두 다멜이라는 세계적인 지휘자뿐만 아니라 걸출한 다수의 음악가들이 배출되면서 세계가 주목하는 음악운동이 됐습니다. 우리도 10여년 전에 상륙해 꿈의 오케스트라 운동으로
[탁계석 칼럼]
– 칼럼 니스트, 한국예술비평가협회장, k-클래식의 거장
[탁계석 칼럼] 우리 손으로 만든 우리 악기 내가 듣고 선택해야
[탁계석 칼럼] 일취월장 KClassicnews Networks – 100개 언론사 배포망 확보
[탁계석 칼럼] 예술 상품, 아티스트, 홍보 마케팅 없이는 수익도, 생존도 없다
[탁계석 칼럼] 우리 손으로 아리랑 오케스트라 창단해야
[탁계석 칼럼] K클래식이 내부 인테리어에 들어갑니다
[탁계석 칼럼] 아츠시티(Art’s City) 양평, K팝을 넘어 K클래식으로
- 세계가 K컨텐츠로 소통, 우리가 글로벌의 중심이다 -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2023은 K클래식 미래 자산의 원년이다 2012년 10월 양평군립미술관에서 5일간의 뮤직페스티벌로 K클래식의 태동을 알렸습니다. 그 이전 8월 15일 모지선, 임동창, 탁계석이 비가 쏱아지는 광복절 날 문화독립을 하자며 K클래식으로 화두(話頭)를 던진 것입니다. 이후 다양한 프로젝트가 양평과 서울, 모작가의 창작 산실에서 이뤄졌습니다. 10년이 지난 지금 K클래식은 보통명사가 되어 언론 미디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어 격제지감입니다. 이제 K클래식의 보다 실체적인 것,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탁계석 칼럼] K클래식문화재단(가칭)이 기부문화의 새로운 태동을
[탁계석 칼럼 ] 불교 칸타타(Cantata) 시대 열어야
케이클래식, K-오케스트라 세계 100인 명예 지휘자 위촉장 수여해
▲사진=탁계석 평론가 & 케이클래식 회장 ⓒ강남구 소비자저널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케이클래식조직위원회(회장 탁계석)는 2019년 3월부터 2023년 8월까지 37개국 108명의 유명 지휘자를 'K-오케스트라 세계 100인 명예 지휘자'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대륙별로는 ▲남미(11개국) ▲북미(1개국) ▲아시아(2개국) ▲아프리카(1개국) ▲유럽 (21개국) ▲중동(1개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멕시코(7) ▲베네수엘라(5) ▲브라질(8) ▲아르헨티나(10) ▲에콰도르(3) ▲우루과이(1) ▲칠레(2) ▲코스타리카(1) ▲콜롬비아(2) ▲쿠바(2) ▲파라과이(2) ▲미국(4) ▲대한민국(4) ▲일본(1) ▲이집트(1) ▲그루지아(1) ▲그리스(1) ▲네덜란드(2) ▲노르웨이(1) ▲독일(1) ▲러시아(7) ▲레바인(1) ▲벨기에(1) ▲보스니아(1) ▲볼리비아(2) ▲불가리아(1) ▲스웨덴(1) ▲스위스(3) ▲스페인(15) ▲아일랜드(1) ▲우크라이나(1) ▲이탈리아(6) ▲조지아(1) ▲터키(1) ▲포르투갈(5) ▲프랑스(1) ▲시리아(1)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 및 지휘자 이름] 번호 국가 및 지휘자 이름 1 그루지아_Vakhtang Gabidzashvili 2 그리스_Charalampos Makris 3 네덜란드_Josef Suilen 4 네덜란드_Mikhail Zemtsov 5 노르웨이_Ragnar Rasmussen 6 대한민국_Joung-Eun Choi 7 대한민국_Lim Dong Chang 8 대한민국_Young Zun Kim 9 대한민국_김영해 10 독일_Kevin Suetterlin 11 러시아_ARKADY LEYTUSH 12 러시아_GER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