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합창단 합창서사시 ‘훈민정음’ 전문가 리뷰

국립합창단 합창서사시 ‘훈민정음’ 전문가 리뷰

– 역사성 살린 탁월한 작품, 세계 무대로 나가야 –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칸타타의 결정적 작품, 벅찬 감동을 느꼈다

국립합창단의 K-합창 시리즈 3편인 오병희 작곡, 탁계석 극본의 ‘훈민정음’이 12일 저녁 7시 30분 예술의전당 무대에 올랐다. 어떤 작품에서 보다 환호와 찬사가 이어졌다. 우리 말로 된 칸타타를 지속해 온 결과 청중이 굳혀진 것도 이번 훈민정음을 통해 확인이 되었다. 주로 서양 교회 칸타타가 주류를 이루다가 훈민정음은 스토리는 물론 대본의 소통이 원활해 통쾌하고 벅찬 감동을 맛보았다는 반응이었다.

‘훈민정음’은 총 3부로 구성되었다. 개벽을 알리는 천지의 두드림을 표현한 웅장한 대북 연주에 이어, 세상을 깨우고 새로운 왕조의 출범과 세종 선대의 6대조를 찬양하는 ‘육룡이 나라샤’, 백성들의 희노애락을 따뜻하게 표현한 ‘뿌리깊은 나무’, 그러나 고복격양 끝에 닥치는 환란과 기근 등 백성의 고통을 묘사한 ‘기근’과 ‘어린 백성’, 결국 인심이 형해화 된 삶에 시름하는 세종의 ‘탄식’ 등으로 1부를 장식했다.

뮤직 리뷰 김종섭 발행인: “윤의중 음악감독이 국립합창단의 지휘봉을 맡은 이후 우리말 칸타타 작품을 꾸준히 무대화에 올리는 가운데, 마침내 가장 위대한 우리말 칸타타의 결정 작품이 오래 기다려온 신화처럼 탄생, 청중들을 벅찬 감동의 물결로 이끌었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국립합창단의 거대하고 도도한 음의 흐름을 타고, 세종대왕으로 출연한 바리톤 김진추와 소리꾼 이봉근이 독창자로 출연해 ‘용비어천가’와 ‘세종실록’, ‘훈민정음 해례본’ 등 세종 당시의 역사적 기실에 기초한 노랫말을 감동적으로 풀어냈다.

이어 김 발행인은 2부에서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내용에 기초해 세종이 10년간 한글 창제를 비밀리에 준비해온 과정을 담은 ‘비밀의 방’, 세종이 성군이 되기는 바라는 소헌왕후의 기원과 우리글을 만들기 위해 고심하는 세종대왕의 이중주가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지는 ‘해와 달’, 훈민정음의 소리글자 원리를 합창으로 표현한 ‘소리글자’, 훈민정음이 중국의 비위를 거스린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반대하는 최만리의 반대와 세종의 격노를 다룬 ‘상소문’ 등으로 전개되었다.

3부는 마침내 창제 반대에도 불구하고 1446년 훈민정음을 공개하는 격동의 ‘반포’, 우리글의 첫 전파자 역할을 했던 ‘궁녀들의 노래’, 어리석은 이도 열흘이면 배우고 세상의 모든 소리를 스물여덟자로 표현 가능한 훈민정음의 우수성을 묘사한 ‘한글’, 후손들이 복된 세상에 살기를 바라는 세종의 독창 ‘위대한 유산’에 이어, 훈민정음으로 백성이 편안한 나라, 백성이 주인이 되는 나라가 될 것은 모두가 다짐하며 거대한 음악의 폭포로 마무리를 짓는 ‘백성의 노래’로 대단원을 맺었다.

칸타타로 만든 아이디어 높이 평가

피날레가 끝나자 앙코르곡이 이어졌다. 관중은 환호했다. 언제 우리가 이런 칸타타를 맛볼 수 있었던가 하는 감탄으로 옹송거렸다.

박신화 합창연합회 이사장: 훈민정음을 칸타타로 표현한 아이디어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 특히 국악과 서양음악을 콜라보로 연결한 점은 시대 요청에 부응한 것이고, 음악의 흐름에도 부합한 시도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윤의중 감독 이후, 한글 칸타타마다 공연장이 늘 매진되곤 하는데 이번에는 훈민정음이라는 전통 소재로 영상과 국악, 오케스트라 등 다양한 장르를 함께 녹여 넣어 더욱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솔리스트 역시 뛰어난 분들이 출연해 훈민정음의 세계적 위상에 걸맞는 무대였습니다.” “작곡도 대단했습니다. 국악뿐만 아니라 재즈, 팝, 국악 등 다양한 스타일을 융합했더군요. 오병희 작곡가는 아이디어가 무궁무진한 음악가입니다.”

홍성훈 오르간 제작 마이스터: 교회음악을 통틀어 훈민정음과 같은 우리말 칸타타는 처음 감상했다며 한글 창제 660년을 맞이해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대단한 인류 유산이 탄생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세계 무대를 향한 확고한 의지가 만든 작품

김중현 중앙대 국악과교수: 민족적 소재로 전통 국악과 서양음악을 결합한 콜라보를 높이 평가했다. 특히 칸타타는 규모가 거대한데다 음악으로 만들기가 쉽지 않아 창작품으로서는 걸림돌이 많은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한 창작과정을 거쳐 우리말 칸타타의 미학을 잘 표현했기 때문이다. “그 어려운 과정을 극복하고 엄청난 스케일의 국가적 브랜드를 만든 것 같아 청중으로서도 벅찼습니다. 이는 윤의중 감독과 오병희 작곡가, 탁계석 극본가의 세계 진출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없었다면 용두사미로 끝났을지도 모릅니다.”

이병직 지휘자: 작품의 내용은 국립이 아니면 할 수 없는 대단한 작품이라고 호평했다. 더구나 국악기와 우리 소리를 적극 사용한 것 역시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다만 훈민정음 창제 동기에서 백성들이 글을 몰라 어려움을 겪는 실제적인 내용보다 배고프고 고통받는 상황을 설정한 것에 대해서는 한글창제 동기의 개연성 면에서 재고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훈민정음 창제동기가 소통의 문제보다 백성들이 힘든 삶에 비춰지다보니 다소 비약된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럼에도 전체적인 내용과 음악의 흐름과 주제, 선율은 대단히 훌륭했습니다. 특히 음악을 연결하는 작곡의 테크닉은 이번 칸타타에서 가장 칭찬해야 할 부분입니다.”

공공극장 등 관심 갖고 국내외 활발한 무대를

이상길 지휘자: 공연 전 부터 훈민정음을 어떻게 전개해나갈까 무척 궁금했었다. 공연소감에 대해 우선 세종대왕 당시의 사회상과 접목해 스토리가 빈틈없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사실 훈민정음의 창제동기 등은 어릴 때 교과서에서 배운 것 이외에는 다시 살펴볼 기회가 많지 않다. 이번 훈민정음 칸타타를 통해 우리말이 얼마나 귀중하고 위대한지 새삼 깨닫게 됐다는 것. “대본도 중요하지만 이를 음악적으로 어떻게 풀어갈까가 관건이죠.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대본과 작곡, 지휘 등 삼위일체로 빚은 역사적인 칸타타라고 봅니다. 더구나 조명 영상 자막 등이 더해서 훈민정음의 창제동기를 더 자세히 알 수 있었고 90분 동안 지루할 틈이 없었습니다.”

그러면서 이구동성으로 관객들은 한글날의 고마움을 잊기가 쉬운데 우리가 사는 동안 잊지 말고 기념하자며 만든 국경일이다. 한글의 민족성과 위대성을 늘 깨달을 수 있는 작품이 탄생했으니, 민간도 좋지만 정부와 공공극장의 깊은 관심을 촉구하면서, 국내외에서 활발한 공연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국립합창단 합창서사시 ‘훈민정음’ 초연 후 기념촬영 ⓒ강남구 소비자저널

▲사진=국립합창단 합창서사시 ‘훈민정음’ 초연 후 기념촬영(좌로부터 (주)코코리본 신순옥 대표, 오병희 작곡가, 탁계석 회장) ⓒ강남구 소비자저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