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합 성장이음 프로그램 ‘따또손’ 책 발간 및 지도자 회의 열려
[강남 소비자저널=정현아 기자]
2025년 5월 13일(화) 오전 10시 30분부터 12시까지 성남시의회 1층 회의실에서 사회통합 성장이음 프로그램 ‘따또손’의 제작보고회와 느린학습자 지도자 회의가 열렸다. 이번 행사는 느린학습자의 교육권 보장과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경제인구 유지 방안을 함께 고민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행사는 ‘따.또.손 배움이음학교’ 책 발간을 기념하며 진행됐다. ‘따또손’은 ‘따로 또 같이 손잡기’의 의미를 담은 사회통합 성장이음 프로그램으로, 비영리단체들과의 협력 속에 학습자의 흥미에 맞춘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해 배움의 연속성을 확장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공교육의 보완책이자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학습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 개발과 책 집필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광옥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차성주 통일부 통일교육위원, 김상호 한국멘토교육협회 이사 등 기획 및 총괄진을 비롯해, 이중근 대한노인회 회장, 김종백 한국신지식인협회중앙회 회장 등 연구진과 박정애 대한노인회 전문강사, 배귀숙 미술심리상담 교수 등이 집필진으로 참여했다. 감수진으로는 신연욱 대한노인회신문사 편집국장을 포함한 감지인연구모임회 위원들이 힘을 보탰다.
‘감지인’은 ▲감성▲지성▲인성을 갖춘 신노년 세대를 의미하며, 이번 프로그램 역시 신노년의 역량과 사회통합적 가치를 연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광옥 교수는 이날 보고회에서 ‘따또손’ 프로그램의 개발 배경과 운영 방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사회적 배려계층을 위한 교육 콘텐츠가 단지 돌봄을 넘어 그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실천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느린학습자 관련 강의에서 이경미 비영리단체 다봄교육센터장은 느린학습자에 대해 “지적 혹은 성격적인 요인으로 학습에 제약을 받지만, 특수교육 대상자로 분류되지 않는 학생들”이라고 정의했다. 이는 초·중등교육법(2016)에 따라 분명한 정책적 정의가 내려진 바 있는 집단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경계성 지적기능을 가진 약 13.59%의 인구는 적절한 중재와 12주 이상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 능력 향상이 가능하다”며, “이들이 집중력과 자기효능감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다면 미래 경제인구로의 전환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느린학습자와 신노년층 등 사회적 배려 계층을 위한 실천적 대안 마련의 장이 되었으며, 향후 지역사회와 교육기관이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통합교육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