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가 기여가 되는 시대, 블록체인 결제 ‘그린티(GreenT)’ 생태계 출사표

소비가 기여가 되는 시대, 블록체인 결제 ‘그린티(GreenT)’ 생태계 출사표

▲사진=정차조 (주)KN541회장 ⓒ강남구 소비자저널

[강남 소비자저널=정차조 칼럼니스트]

“쓰는 만큼 보상받는다”… 웹 3.0 철학 내세운 프로슈머 경제 모델에 업계 주목

혁신적 비전 뒤에 숨은 중앙화 구조와 시장 진입 장벽은 과제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신용카드와 간편결제 시스템. 편리함 이면에는 높은 수수료, 복잡한 정산 과정, 그리고 데이터 독점이라는 구조적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기존 금융 시스템에 도전장을 내민 새로운 블록체인 프로젝트 ‘그린티(GreenT)’가 ‘프로슈머(Prosumer·생산에 참여하는 소비자)’ 경제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린티 프로젝트의 핵심은 ‘KN541-ism’이라는 철학 아래, 소비를 단순한 지출이 아닌 ‘가치 창출 행위’로 재정의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온라인 쇼핑몰 ‘KN541샵’에서의 구매, 광고 시청, 콘텐츠 참여, 심지어 친구에게 상품 링크를 공유하는 모든 활동에 대해 ‘GWC(GreenT Wallet Coin)’ 토큰으로 보상받는다. 수동적인 소비자가 생태계에 기여하고 수익을 얻는 능동적 주체로 거듭나는 것이다.

 

◆ 온·오프라인 넘나드는 ‘보상 경제’와 현실적 기술 선택

 

그린티 생태계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긴밀하게 연결하도록 설계되었다. 사용자는 KN541샵뿐만 아니라, 향후 제휴를 맺을 편의점, 카페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GWC 토큰을 사용하게 된다. 특히 ‘내 스토어’ 기능을 통해 누구나 자신만의 온라인 상점을 열고 상품을 홍보하며 판매 수익의 일부를 공유받는 구조는 참여를 통한 수익 창출이라는 웹 3.0의 가치를 충실히 반영했다.

 

기술적으로 그린티는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인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기반으로 한다. 이는 비트코인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보다 월등히 빠른 처리 속도와 안정성을 보장해 실시간 결제가 필수적인 서비스에 적합한 선택이라는 평가다. 또한, 프로젝트 수익의 일부를 환경 단체에 기부하는 ‘에코 펀드’를 운영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를 실현하려는 시도도 긍정적인 부분이다.

 

그린티 프로젝트가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메우고소비자가 경제의 주인이 되는 새로운 결제 혁명을 이끌어낼  있을지 주목된다.

 

 

소비가 기여가 되는 시대, 블록체인 결제 ‘그린티(GreenT)’ 생태계 출사표
▲사진=그린티 생태계 관련 이미지(출처 : Freepik Photos) ⓒ강남 소비자저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