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가 곧 수익이 된다, 블록체인 결제 ‘그린티’, 소비자 주권 시대 연다

소비가 곧 수익이 된다, 블록체인 결제 ‘그린티’, 소비자 주권 시대 연다

▲사진=정차조 (주)KN541회장 ⓒ강남구 소비자저널

[강남 소비자저널=정차조 칼럼니스트]

‘쓰는 것이 버는 것’으로패러다임 전환 예고… 온·오프라인 잇는 실용적 생태계로 기대감 UP

매일 반복되던 소비 활동이 더 이상 단순한 ‘지출’이 아닌, ‘수익’과 ‘기여’가 되는 새로운 경제 모델이 등장했다. 블록체인 결제 프로젝트 ‘그린티(GreenT)’가 ‘프로슈머 경제’라는 혁신적인 기치를 내걸고, 소비자가 경제의 중심이 되는 새로운 생태계 구축에 나서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린티가 제시하는 ‘KN541-ism’ 철학은 명확하다. 소비자를 데이터 생산의 객체가 아닌, 가치 창출의 주체로 인정하고 그에 합당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들은 온라인 쇼핑몰 ‘KN541샵’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행위는 물론, 광고를 보거나 친구에게 좋은 상품을 추천하는 모든 활동에 대해 ‘GWC’ 로 보상을 받는다. 이는 기존 플랫폼들이 독점하던 데이터 가치를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웹 3.0 정신의 구체적인 실현이다.

 

‘내 손안의 스토어’와 ESG 경영, 참여와 가치를 동시에 잡다

 

그린티 생태계의 가장 큰 매력은 높은 참여도와 확장성에 있다. 특히 ‘내 스토어’ 기능은 누구나 자신만의 온라인 상점을 개설해 상품을 홍보하고, 판매 수익의 일부를 직접 공유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단순 소비를 넘어 능동적인 판매 및 마케팅 주체로 활동할 길을 열어줌으로써, 참여자들에게 강력한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그린티는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으로의 확장을 준비 중이다. 향후 편의점, 카페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매장에서도 GWC 토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 보상 경제의 효용성은 극대화될 전망이다.

 

기술적으로는 기업용 솔루션인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채택해 현실적인 해법을 찾았다. 이는 실시간 결제에 필수적인 빠른 속도와 높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사용자들이 불편함 없이 블록체인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된다. 여기에 프로젝트 수익 일부를 환경 단체에 기부하는 ‘에코 펀드’ 운영 계획까지 더해지면서, 그린티는 단순한 결제 시스템을 넘어 ESG 가치를 실현하는 선한 영향력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 IT 전문가는 “그린티 프로젝트는 소비자의 활동이 어떻게 가치로 전환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선진적인 모델”이라며, “실용적인 기술 선택과 사회적 가치를 결합해 지속 가능한 프로슈머 경제의 청사진을 제시했다”고 높이 평가했다.

 

소비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참여하는 모든 이에게 공정한 보상을 약속하는 그린티. 이들의 담대한 도전이 소비자 주권 시대를 여는 성공적인 첫걸음이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소비가 곧 수익이 된다, 블록체인 결제 ‘그린티’, 소비자 주권 시대 연다
▲사진=그린티 생태계 관련 그림(출처: Freepik Photos) ⓒ강남 소비자저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