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계석 칼럼] 거장(巨匠)의 길, 우뚝 선 봉우리에 걸 터 앉아

[탁계석 칼럼] 거장(巨匠)의 길, 우뚝 선 봉우리에 걸 터 앉아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평론가]

▲사진=비평가협회/케이클래식 탁계석 회장 ⓒ강남구 소비자저널

 

명작을 뛰어 넘는 명예는 없다

역사에 남는 명작엔 이면의 스토리도 많다

장사꾼과 경영인이 다르다. 이익을 쫓는 입장에선 별반 다르지 않을지 몰라도 차별성이 분명 있을 것이다. 작가(作家)는 작품이고 몸이자 생명이다. 그래서 누구나 역사에 남는 명작을 갖고 싶어 한다. 거장(巨匠)이 되고 싶은 것이다.

 

전시장에서 보는 거장(巨匠)들의 이력(履歷)은 양적 방대함뿐만 아니라 예술사에 남을 가치를 획득하는데 우여곡절로 점철된 인생사를 본다. 작가뿐만 아니라 주변, 역사적 이벤트 등이 조합되면서 천의 하나, 만에 하나 예술사 반열에 오른다.

 

당대에 나이팅게일 보다 훨씬 이름을 떨친 이가 있었지만 나이팅게일은 행정력을 갖고 있었기에 영원한 상징이 되었다. 에디슨 역시 불과 수십 킬로 내에서 동일한 벨 실험이 있었지만 결국 승자는 에디슨이었다. 최근의 미술책을 보니 살아서 돈도 벌고 명성도 얻은 화가들을 정리해 놓은 글을 흥미 있게 읽었다. (리정 작가: 100명의 성공한 화가들의 비밀1.2).

 

수천, 수만의 작가들이 이 땅을 스쳐가지만 매우 드물게 경영과 그림 작업을 동시에 한 수단 좋은 인물도 있었다. 자존심이 전부가 아닌 것이 또 다른 프로듀싱이나 매니저 역할이 현대사회에선 작품 보다 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되겠다.

 

주변이 높아 보이면 진다. 안목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인다

반 고흐처럼 평생 그림 한 점 못 판 친구도 있지만 영리한 아내의 미술관 오픈에서의 이벤트가 오늘의 불멸의 작가 반열에 올리지 않았겠는가. 그렇다면 거장이 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될까. 꿈꾸는 것은 자유이고 착각이 불행을 가져온다고 해도 예술가는 그 도전을 멈추어서는 안 된다.

 

작가의 용기가 곧 에너지다. 칸타타 9작품을 올리면서 9봉(峰)에 올랐다는 자의적 붐업을 하는 이유다. 이제는 주변의 높은 사물들이 점차 발아래로 보이기 시작했다.

 

K클래식엔 줌(zoom) 기능이 달려 있어서 모든 것에 균형을 잡아 준다. 비아냥이나 무관심도 거의 통과한 상태이니까. 누구도 ‘위대한 작품’을 뛰어 넘는 ‘명예’는 없을 것 같다. 한 때의 국왕이었다해도 베르디의 명작과 비교가 되겠는가. 세계 예술사에 공유된다는 전제 조건 하에서 말이다. 사람은 사라지고 작품만 보인다. 어디서라도 꽃을 피우는 강인한 생명력의 작품.

 

K클래식 깃발을 들고 사막을 건너는 낙타가 된 기분이다. 달밤에도 외롭지 않게 인생 여정에 작가는 고통을 끌어 안고서도 즐거워야 한다. 최면이 그 출발인지 모른다. 쳇봇은 나에게 또 어떤 도움을 줄까? 여민락을 끝내고 용마루에 걸 터 앉은 삼족오가 된 기분이다.

 

▲사진=세종대왕의 여민락 공연에 참석한 시민들 ⓒ강남구 소비자저널

▲사진=세종대왕의 여민락 공연 후 지휘자와 단원들이 인사하고 있다  ⓒ강남구 소비자저널

▲사진=세종대왕의 여민락 공연 후 인사하고 있는 행사 관계자들(좌 3번째로부터 총연출 홍성훈, 작곡가 박영란, 대본가 탁계석, 음악감독 김준희)  ⓒ강남구 소비자저널

▲사진=세종대왕의 여민락 공연 후 기념촬영하고 있는 케이클래식 맴버들 ⓒ강남구 소비자저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