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문화는 국가의 소프트파워이자 경제의 미래입니다.” 현 정부는 대한민국을 세계 5대 문화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는 단순히 한류 열풍에 기대는 수준을 넘어, K-컬처를 국가 성장의 새로운 축으로 삼는 전략적 선언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K-컬처 시장 300조 원, 문화수출 50조 원 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를 내놓았다. 향후 5년간 약 51조 원을 투입해 창작 생태계 강화, 글로벌 OTT 플랫폼 육성, 해외 거점 허브 구축에 집중한다. 단순한 산업 지원이 아니라 국가 브랜드와 경쟁력을 높이는 투자다. 창작 생태계 전폭 지원과 세제 혜택 콘텐츠의 시작점은 창작자다. 정부는 제작 초기 단계에서 자금 부족으로 무너지는 창작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세제 혜택을 대폭 확대한다. 드라마·영화뿐 아니라 웹툰, 게임, 공연 등 다양한 콘텐츠 제작비에 세액공제를 적용하고, 일정 소득 한도 내에서 창작자 개인 소득세를 감면한다. 해외 수출과 라이선스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금을 완화해 지식재산권(IP) 확보와 글로벌 상업화도 지원한다. 이러한 정책은 단기적으로 제작비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콘텐츠 산업 전반의 자생력을 높이는 토대가 될 것이다. K-컬처 OTT 플랫폼, 팬덤과 세계를 잇다 현재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확산은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등 해외 OTT 플랫폼 의존도가 높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국내 대형 미디어 기업과 통신사, 제작사가 연합하는 ‘K-OTT 얼라이언스’를 추진한다. 이 플랫폼은 단순히 콘텐츠를 모으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다국어 자막·더빙 시스템, 현지 결제 시스템으로 글로벌 이용자 진입 장벽을 낮추고, AI 추천 알고리즘으로 맞춤형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나아가 AR·VR·XR 기술을 접목한 몰입형 콘텐츠와 메타버스형 공연·팬미팅으로 팬덤을 OTT 플랫폼 안으로 흡수한다. 이는 넷플릭스를 모방하는 모델이 아니라, 팬덤과 커뮤니티 중심의 한류 특화 OTT라는 새로운 표준을 세우는 것이다.…
![[손영미 칼럼] ‘문화는 국가의 성장동력이다’ 5대 문화강국 실현과 K-컬처 시장 전망 [손영미 칼럼] ‘문화는 국가의 성장동력이다’ 5대 문화강국 실현과 K-컬처 시장 전망](https://blog.kakaocdn.net/dna/lueZf/btsPEQ0lPXr/AAAAAAAAAAAAAAAAAAAAALp3TkQBkLaCs6_q9dJSqCiWxBoyn3RKyGaL2aTDeEJj/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j2M7e5uHtoPl0wqOLfDA%2FNTWfcs%3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