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미 칼럼] 한국이 낳은 월드 스타들의 최고 무대… 주옥 같은 아리아로 세계의 무대를 품은 밤

[손영미 칼럼] 한국이 낳은 월드 스타들의 최고 무대… 주옥 같은 아리아로 세계의 무대를 품은 밤

▲사진=손영미 극작가 & 시인 & 칼럼니스트 ⓒ강남 소비자저널 [강남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KG Philharmonic Orchestra Word-Class Vocalist Series 2025 K –Opera Gala 공연이 2025년 7월 12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오늘 공연 무대는 곽재선 문화재단의 주최와 KG 그룹 후원으로, 한국이 빚어낸 월드 스타들의 연주로 단순히 ‘아름다운 노래’가 흐른 공간이 아니었다. 그곳은 한국 성악의 깊이와 넓이, 그리고 세계가 주목한 이유를 고스란히 증명해 낸, 울림의 현장이었다. 세계적인 명성을 넘어선 진심, 한국 성악이 전한 영혼의 소리 그 자체였다. 세 명의 연주자 모두 월드 스타답게 손색없는 연주로, 주옥같은 아리아의 향연을 펼쳤다. 이들은 또 작품 속 인물들의 심연을 파헤친 섬세한 연기와 목소리로, 오페라의 극적 정수를 보여주었다. 이번 무대는 단순한 아리아의 향연을 넘어, ‘성악가의 해석력과 음악적 서사’가 만나는 총체적 무대 예술을 선보였다. 오프닝 서곡으로는 <KG 그룹과 곽재선 문화재단이 2025년 새롭게 창단한 KG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서희태 지휘로>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오페레타 <박쥐>로 첫 무대가 열렸다. 왈츠와 경쾌한 리듬이 어우러진 이 곡은 관객을 단숨에 오페라의 세계로 이끌었다. 첫 연주자로 바리톤 김기훈은 ‘금지된 사랑의 노래’에서가슴 깊이 눌러온 열정을, 베르디 <Io morrò>에서는 절망과 외로움에 짓눌린 왕의 비탄을 노래했다. 서로 다른 감정의 결을 균형 있게 전달한 그의 무대는 깊은 내면의 울림을 주었다. 소프라노 ‘박소영의 헨델 <Lascia ch’io pianga>’는 고통과 기도의 선율이 깃든 바로크 아리아로, 그녀의 섬세한 표현력이 돋보이는 장면이었다. 특히 벨리니의 아리아는 벨칸토 오페라의 긴 호흡과 감정의 흐름을 유려하게 이끌어야 하는데, 그 감정선을 올곧게 살려내었고 박소영은 이 곡을 통해 ‘신을 부르는 여사제’의 고요하고 숭고한 순간을 무대 위에 제대로 그려내었다. 연이어 테너 김재형은 스페인의 정열이 깃든 곡으로 밝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전한 ‘그라나다’를, 쥘 마스네의 오페라 <Pourquoi me réveiller>로 ‘왜? 날, 깨우는가’ 괴테 원작의 문학적 깊이를 담은 이 아리아에서 그의 서정성과 극적인 감정 이입이 빛을 더했다. 1부의 마무리는 소프라노와 테너가 함께 부르는 레하르의 <입술은 침묵하고> 사랑의 달콤함과 설렘을 오페레타의 향기로 이 듀엣은…

[손영미 칼럼] ‘세 개의 영혼이 하나의 무대로  별빛 지도를 그리다.’

[손영미 칼럼] ‘세 개의 영혼이 하나의 무대로 별빛 지도를 그리다.’

▲사진=손영미 극작가 & 시인 ⓒ강남 소비자저널 [강남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한밤의 빛, 세 개의 영혼이 흐르는 무대… 세 명의 연주자가 직조한,음악이라는 별의 지도’ 오늘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에서 관람한 뉴서울오케스트라 주최 ‘클래식 빅 3콘서트’ 멋진 공연을 관람 후 친구 작업실에서 와인 한잔하고 돌아왔다. 멋진 연주를 관람하고 오는 날은 기분이 상쾌해서 좋다. ~~~~~~~~~~~‐———– ‘한밤의 빛, 세 개의 영혼이 흐르는 무대… 세 명의 연주자가 직조한, 음악이라는 별의 지도’ •글-손영미 -극작가·시인·칼럼니스트 어떤 밤은, 음악이 먼저 도착한다. 별보다 먼저 반짝이는 음이 있다. 숨조차 들킬까 조심스레 귀를 기울이면 시간이 아니라 ‘존재’가 연주되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 이 밤은 그런 밤이다. 세 명의 연주자가 세 방향에서 걸어와 하나의 별자리를 만든다. 피아니스트 임주희, 바이올리니스트 김계희, 피아니스트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세 개의 세계가, 단 하나의 무대 위에서 교차한다. 임주희의 건반은 천상의 물빛을 닮았다. 베토벤의 ‘황제’가 그의 손끝에서 깨어날 때, 그 장엄함은 군주의 위엄이 아니라, 자기 안의 고독을 다스리는 자의 고요였다. 어떤 음은 말보다 더 단단하고, 어떤 쉼은 침묵보다 더 먼 곳을 향한다.…

[손영미 칼럼] 안톤 체홉의 인간학 침묵으로  무너지는 삶, 그럼에도 살아간다

[손영미 칼럼] 안톤 체홉의 인간학 침묵으로 무너지는 삶, 그럼에도 살아간다

▲사진=손영미 극작가 & 시인 ⓒ강남 소비자저널 [강남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오늘은 오랜만에 대학로로 마실 나와 평소 아끼는 작가 ‘안톤 체홉’의 작품을, 친애하는 배우의 초대로 관람했다. 늘 민낯으로 삶을 묻는 공연장 무대는 나를 살아있게 만든다. 안톤 체홉의 『바냐 삼촌』, ‘안톤 체홉의 인간학 침묵으로 무너지는 삶, 그럼에도 살아간다.’ •손영미|극작가·시인 안톤 체홉, 삶의 ‘사소함’에 귀 기울인 작가 러시아의 황혼기, 의사이자 극작가 ‘안톤 체홉'(1860~1904)은 인간의 병든 육체뿐 아니라, 병들어가는 영혼까지 진찰한 작가였다. 단편소설과 희곡을 통해 그는 거창한 사건보다 일상에서 배어나는 무기력, 사랑의 결핍, 존재의 허무를 들여다보았다. 체홉은 도덕적 해답을 주지 않는다. 대신 침묵과 여백으로 인물을 감싸며 독자와 관객이 스스로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만든다. 그의 희곡들은 전통적인 희곡 구조를 거부한다. 기승전결도, 명확한 클라이맥스도 없다. 오히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듯한 무대 위에서, 인물들의 삶 전체가 서서히 붕괴되는 과정을 가만히 보여준다. 『갈매기』, 『세 자매』, 『벚꽃동산』, 그리고 『바냐 삼촌』은 그 체홉식 고요한 파열의 정점을 이룬다. 침묵으로 무너지는 삶의 무대  『바냐 삼촌』의 세계는 러시아의 한적한 시골 농장이다. 겉보기엔 평온하지만 그 안에서는 희망의  감정의 침식이 무대 전체를 감싼다. 『바냐 삼촌』은 그런 연극이다. 사건이 아니라 정적 대사가 아니라 말 사이의 침묵, 변화보다는 무위(無爲)의 반복 속에서 인물들은 서서히 무너진다. 또한 체홉은 단언하지 않는다. 그의 연극은 교훈또한 없다. 대신 조용히 보여준다. 지속되는 일상 이루어지지 않는 사랑, 바꿀 수 없는 현실 그 속에서 인간은 어떤 자세로 삶을 감내해야 하는가 묻는다. 정적 속에 새겨진 감정의 파문 『바냐 삼촌』은 전체 4막의 구조 속에서 한 줄기 긴 한숨처럼 흘러간다. 1막, 바냐와 소냐의 피로한 일상 속으로 관객은 초대된다. 오랜 세월을 헌신했던 교수의 방문 그리고 그의 아내 옐레나의 등장은 일상의 수면 위에 파문을 일으킨다. 그러나 파국은 오지 않는다. 감정의 지층이 서서히 얇아질 뿐이다. 2막, 아스트로프와 옐레나의 미묘한 대화 바냐의 무력한 분노 소냐의 억눌린 짝사랑이 교차하며 침묵의 밀도는 짙어진다. 3막, 바냐는 교수에게 총을 겨누지만 아무것도 바꾸지 못한 채, 주저앉는다. 감정이 격화되지 못한 채 무너지는 그 장면은 체홉적 인간 이해의 진수다. 4막, 교수는 떠나고 바냐와 소냐는 다시 일터로 돌아간다. 소냐의 마지막 대사 “우리는 살아갈 거예요. 쉬지 않고 일하고…” 이 고요한 독백은 체홉이 인간에게 남긴 가장 슬프고도 따뜻한 기도문이다. 인물은 고요히 말하고, 침묵은 더 많은 것을 말한다 체홉의 인물들은 격정적인 대사를 뱉지 않는다. 그들은 말 대신 눈빛으로 정지된 걸음으로, 숨결의 무게로 감정을 전한다. 바냐, 헌신했던 이상이 배신당했음을 알고도 세상을 바꿀 힘이 없다는 절망에 무너진다. 소냐, 사랑받지 못하면서도 사랑을 포기하지 않고 아버지에게 외면당하면서도 미워하지 않는다.…

[손영미 칼럼] 매혹적인 음색과 열정 프리마돈나 이규도 추모음악회

[손영미 칼럼] 매혹적인 음색과 열정 프리마돈나 이규도 추모음악회

[강남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지난 8 일 토요일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에서는 고(故)이규도 교수를 기리는 추모 음악회가 열렸다. 한국 클래식 음악계에 큰 의미를 지닌 행사였다. 공연은 인터미션 없이 진행된 깔끔한 연출로 고(故) 이규도 교수를 기억하고, 그녀와의 소중한 추억을 되살리는 데 집중되었다. 특히 제자들이 준비한 이번 공연은 이규도 소프라노의…

[손영미 칼럼] 손영미의 발라드 가요 ~ ‘효창동’

[손영미 칼럼] 손영미의 발라드 가요 ~ ‘효창동’

[강남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효창동’ 정연욱 (JEONG YEON WOOK)  작사, 작곡, 노래 오랜만에 발라드 곡을 소개해 본다. 가끔 안부를 주고받았던 작곡가 정연욱에게서 반가운 편지가 왔다. 서로 바빠 한동안 소식을 놓치고 지냈는데, 이렇게 멋진 곡을 준비하고 있었나 보다. 신곡을 듣고 소개하는 것만큼 설레는 일이 또 있을까. 나른한 주말 오후, 쇼파에 몸을 기댄 채 무료한 시간을 보내던 찰나, 새로운 뮤즈의 기운이자 기별이 찾아왔다. 그의 목소리가 잔잔하게 스며들며, 옛 추억이 떠올랐다. 마음 따라, 선율 따라 흘러가다 보니 어느새 나는 스무 살의 시간 속에 서 있었다. 육체는 빛났고, 정신은 설익었던 날들. 그 혼란스럽고도 날아오를 듯한 청춘의 한때. 우리는 세상이라는 길로 던져저 너는 너의 길로 나는 나의 길로 가며, 긴 이별이 된 숨 가쁜 시간들이 이어졌다. 정연욱은 90년대 중반 015B 객원 가수로 음악을 시작해 두 장의 정규 앨범과 싱글 앨범을 발표했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돌연 대중음악인이 아닌 성악·크로스오버 장르의 가곡으로 무대를 옮겼다. 이후 바리톤 고성현, 소프라노 강혜정, 소프라노 김수연, 테너 류정필 등 국내 최정상 클래식 뮤지션들의 앨범을 프로듀싱하고 작곡하며 활동하던 그가, 오랜만에 본업인 가수로서 그리고 대중음악 작곡가로서 새로운 싱글 앨범을 발표했다. “효창동” 정연욱 – 작사, 작곡, 노래 모든게 새롭게 돌아가던 2월의 어느 늦은 날 우린 처음 알았지 넌 참 예뻤었고 난 하나도 가진게 없던 그 시절…

[손영미 칼럼]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손영미 칼럼]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 새로운 시대는 늘 과거를 딛고 일어난다. – 예술가에게 창작은 곧 생존이다. [강남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새해맞이 7일간의 긴 설 연휴가 끝나는 시기, 특별한 전시회를 소개한다. 1900년대 초 오스트리아 비엔나는 바로크 시대의 말로 세기가 전환되는 시점이었다. 이 시기를 맞아 자유와 변화를…

[손영미 칼럼] 자유로운 숨과 영혼의 외침 요나스 카우프만

[손영미 칼럼] 자유로운 숨과 영혼의 외침 요나스 카우프만

[강남구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그의 수려한 외모와 깊고 어두운 음색 고혹적이기까지 한 그의 연주는, 자유로운 숨과 영혼의 외침같은 소리로 영화관을 가득 채운 채 깊은 감동을 주었다. 공연 전, 베로나 원형극장 현장 무대에서 그의 살아있는 연주를 직접 듣지 못해 많이 아쉬웠다. 그러나  연주를  듣는 동안에 그 아쉬움마저도 잊게 했다. 1월 1일 빈필 신년음악회 이어 요나스 카우프만의 연주를 메가박스 영화관에서 스크린으로 만나는 시간~ 연주 두 시간 반이 훌쩍 넘는 긴 시간에도 지루함을 모르고 빠져들었다. 그는 특히’ mezza voce'(피아노로 노래해서 포르테까지 크레센도로 가 서서히 피아노로 되돌아오는 )적절히 소리를 가지고 놀 수 있는 여유와 힘이 매우 탁월한 연주자였다. 연주가 끝나도 끝을 모르는 무대는 요나스 카우프만의 그 명성 그대로, 끝없는 앙코르 곡이 이어졌다. 세계적인 스타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그는 명실상부한 세계 성악계 최고의 슈퍼스타로 손색이 없었다. 그의 공연은 여전히 전 세계 극장에서 항상 매진 행렬을 이룬다. 여전히 그는 전설적인 ‘세계 3대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 ‘플라시도 도밍고’, ‘호세 카레라스’의 뒤를 잇는 21세기 현존하는 최고의 테너’로도 불린다. 우리나라에도 2015 년 방문했었다. 그때는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에서 그를 마주했다. 8 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은 체구도 중년의 중후함을 보였다. 소리도 더 무르익어 듣기 편하였다. 1969년 7월 10일 출생, 독일 뮌헨 출신의 성악가로 세계에서 가장 핫한 테너이며 테너 중에서도 유니크한 드라마틱 테너이다. 그는 바그너 오페라도 완벽하게 소화가 가능하다. 프랑스 오페라  비제의 ‘카르멘’은 최고의 돈 호세라고 정평이 나있다. 하지만 음색 자체가 굉장히 어두운 편이라 작품에선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살아있는 전설의 연주자답게 소냐 욘체바 불가리아 가수와 바리톤 뤼도 비크테지에 협연으로 주옥같은 선곡들을 소화해 내며 압도적인 감성 무대 연기를 펼쳤다. 푸치니 ,베르디 , 레하르, 베토벤의 <피델리오, Fidelio>, 엔니오 모리꼬네 , 레나드 번스타인,비제의 <카르멘, Carmen> 등, 바그너의 작품에서의 열연을 통해 세계 최고의 테너로 주목할 만하였다. 메가박스 공연 연주는 오는 2 월 10 일까지 매주 목요일 토요일 연주된다. ▲사진=요나스 카우프만 ⓒ강남구 소비자저널 ▲사진=요나스 카우프만 ⓒ강남구 소비자저널…

[손영미 칼럼] Vienna Phil 빈필의 최고 명성은 역시  신년음악회

[손영미의 감성가곡] Vienna Phil 빈필의 최고 명성은 역시 신년음악회

[강남구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세계 최정상 오케스트라 중 하나인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공연이 올해도 어김없이  2024년 1월 1일 저녁 7시 메가박스 영화관에서 생중계 상영되었다. 매년 클래식 음악의 대표 브랜드가 된 빈필만의 영화 같은 클래식 공연으로 올해도 그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때를 맞추어 빈에 가서 듣지 못해 큰 아쉬움이었지만 … 라이브 영상으로 그 감동을 놓치지않았다. 무엇보다 새해 평화와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새해 첫날 가장 먼저 열리는 콘서트답게 화려한 꽃 장식이 눈에 띠었다. 매년 황금홀 슈트라우스 일가와 함께 무지크페라인에서 1월 1일 빈 현지시각, 오전 11시 15분부터 약 150분간 열렸다. 전 세계 100여 개 국에서 중계되는 공연으로,…

[손영미 칼럼] 노래 한 곡이 주는 위대한 행복!

[손영미의 감성가곡] 노래 한 곡이 주는 위대한 행복!

[강남구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바쁜 현대인들에게 정서함양과 육체적 건강까지 누리며 나를 알아가는 취미가 있을까? 현대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웰빙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은퇴 이후에 자신의 삶이 무엇보다 소중한 시대가 도래했다. 이제는 치열한 경쟁과 소모적인 노동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개척해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