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Posts tagged "탁계석 칼럼"

[탁계석 칼럼] 청년 일자리 창출, 한국형 오케스트라 K-시스테마가 답이다

[탁계석 칼럼] 청년 일자리 창출, 한국형 오케스트라 K-시스테마가 답이다

독창적 K 콘텐츠 가질 때 김구 선생께서 꿈꾸셨던  문화 강국!! 환경이 다르면 운동도 지향점도 달라야 한다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엘 시스테마(El sistema)는 세계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동의 상징이자 대표적인 브랜드입니다. 1975년  베네수웰라에서 경제학자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박사에 의해서 시작된 엘 시스테마는 음악의 사회적 기여, 즉 마약과 총을 든 아이들을 구제하기 위해 만든  음악운동입니다. 여기서 구스타보 두 다멜이라는 세계적인 지휘자뿐만 아니라 걸출한 다수의 음악가들이 배출되면서 세계가 주목하는 음악운동이 됐습니다. 우리도 10여년 전에 상륙해 꿈의 오케스트라 운동으로

[탁계석 칼럼] 일취월장 KClassicnews Networks – 100개 언론사 배포망 확보

[탁계석 칼럼] 일취월장 KClassicnews Networks – 100개 언론사 배포망 확보

- 안목 있는 독자와 함께 성장하면서 글로벌로 확대할 것이다 -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저널리즘의 새 지평이 열렸다 시간의 속도만큼이나 언론 환경 변화도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지하철 입구에서 배포하던 타블로이드판 신문을 안다면 이는 이미 노년층에 접어들었을 것입니다. 여성 잡지들과 주요 매체들이 파워를 가지고 광고 시장을 오랫동안 독점하는 권력을 누리기도 했지요. 언론사 기자 한번 만나려면 결코 쉽지 않았죠. 이제

‘탁계석 칼럼’ 100개 언론사 네트워크에서 인기짱, 11개가 랭킹에 올라

‘탁계석 칼럼’ 100개 언론사 네트워크에서 인기짱, 11개가 랭킹에 올라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      K클래식을 알리는  우리 문화 전사들!   투데이뉴스 1위 선스타코리아 1위 중부신문 1위 플러스인뉴스 2위 코리아이슈저널 2위 뉴스인 020  3위 데일리굿타임5위  케이시사타임즈 6위 이런뉴스8위 뉴스체인지 9 1위 [탁계석 칼럼] 예술 상품, 아티스트, 홍보 마케팅 없이는 수익도, 생존도 없다 투데이뉴스 (emntoday.kr) 1위 탁계석 칼럼] 예술 상품, 아티스트, 홍보 마케팅 없이는 수익도, 생존도 없다 (sunstarkorea.com) 1위 탁계석 칼럼] 예술 상품, 아티스트, 홍보 마케팅 없이는 수익도, 생존도

[탁계석 칼럼] 예술 상품, 아티스트, 홍보 마케팅 없이는 수익도, 생존도 없다

‘탁계석 칼럼’ 100개 언론사 네트워크에서 인기짱, 11개가 랭킹에 올라

투자 대비 효율성 꼼꼼히 계산해야 시장이 뚫린다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시장 논리에 순응하는 법 배워야 산다 무엇이든 ​돈을 벌려면 상품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소비자가 상품화되지 않은 것을 선택하거나 선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모르는데 어떻게 구매가 일어나겠는가. 상품의 포장, 홍보, 마케팅은 기업 성공의 본질이다. 작품이든 아티스트든 돈을 벌고자 하면 이 같은 상품화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예술계는 왜곡돤 자존심이란 장벽에 갇혀 있지

[탁계석 칼럼] K클래식이 내부 인테리어에 들어갑니다

[탁계석 칼럼] K클래식이 내부 인테리어에 들어갑니다

​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조성진, 임윤찬. 정명훈 홍보, K 클래식 아니다  지난 10년간 K 클래식 브랜드를 만들었고 이제 보통명사화(化)가 되고 있습니다. 조성진, 임윤찬. 정명훈 홍보 광고에서 K 클래식이라고 자막이 뜨고 언론이 보도를 합니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쇼팽, 베토벤, 브람스 하는 것이 K 클래식은 아닙니다. 한국 작품을 하거나 창작하는 것을 K 클래식으로 설정한 것이니까요. 굳이 말하자면

[탁계석 칼럼] 아츠시티(Art’s City) 양평, K팝을 넘어 K클래식으로

[탁계석 칼럼] 아츠시티(Art’s City) 양평, K팝을 넘어 K클래식으로

- 세계가 K컨텐츠로 소통, 우리가 글로벌의 중심이다 -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2023은 K클래식 미래 자산의 원년이다 2012년 10월 양평군립미술관에서 5일간의 뮤직페스티벌로 K클래식의 태동을 알렸습니다. 그 이전 8월 15일 모지선, 임동창, 탁계석이 비가 쏱아지는 광복절 날 문화독립을 하자며 K클래식으로 화두(話頭)를 던진 것입니다. 이후 다양한 프로젝트가 양평과 서울, 모작가의 창작 산실에서 이뤄졌습니다. 10년이 지난 지금 K클래식은 보통명사가 되어 언론 미디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어 격제지감입니다. 이제 K클래식의 보다 실체적인 것,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탁계석 칼럼] 평창 효석 문화제와 연동해서 메밀꽃 필 무렵 오페라 올려야죠

[탁계석 칼럼] 평창 효석 문화제와 연동해서 메밀꽃 필 무렵 오페라 올려야죠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평론가] 사운드포커싱으로 오페라극장 만들면 대박날 것 이효석의 명작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이 중심이 된 평창효석문화제가 매년 강원도 봉평(9월 8일~13일)에서 열린다. 소설처럼 아름다운 메밀꽃밭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현대 단편소설에는 주인공 모두가 홀로 살아가는 이의 쓸쓸함과 외로움이 스토리 전편에 묻어난다. 소금뿌린 듯 하얀 메밀꽃밭을 부자(夫子)인줄 모르고 평생 장터 떠돌이로 동행하는 허생원과 동이, 그리고 물방앗간에서의 하룻밤 사랑 이야기를

[탁계석 칼럼] 문체부 K-콘텐츠와 연관 산업 간의 동반 진출에 나섰다

[탁계석 칼럼] 문체부 K-콘텐츠와 연관 산업 간의 동반 진출에 나섰다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평론가]   제 3의 한류, 기업 상품들 예술의상 입고 최고의 경쟁력 높인다   이미 K 브랜드는 이전의 코리아(Korea)를 대신한 브랜드로 정착했다. 열거할 필요도 없이 모든 것이 K 이니셜로 통하는 시대가 왔다. 문체부는 10차례의 콘텐츠 수출대책 회의를 열어고 물들 때 배 띄우는 총력전을 펼칠 계획이다. 반도체 등의 수출 부진을 K 콘텐츠에 화력을 집중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개척에 나서는 것이 윤석열 정부의 정책 어젠다다. 대중한류에서 제3 아트 한류로 시너지

[탁계석 칼럼] 세상의 모든 명품처럼 명곡이라면 팔려 나가야죠

[탁계석 칼럼] 세상의 모든 명품처럼 명곡이라면 팔려 나가야죠

- 남의 것 모방하며 흉내만 내고 있으면 발전 안돼 -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평론가] 명곡의 힘, 세계로 확산되는 파급력이다 소비자의 구매력이 있고 가격 또한 높은 것이 명품이죠. 작품도 명곡이라면 늘 사람들에게 들려지는 것이 명곡의 요건이니까요. 한번 듣고 마는 것을 명곡이라고 할 수는 없죠. 지난 10동안 오페라 5편, 칸타타 9편을 했으니 더는 여기에 머물기 보다 새로운 것을 찾아 나서려고 합니다. 규모가 너무 큰 것은

[탁계석 칼럼] 히딩크식 선수 발굴로 프로 아티스트 시장 만들어야

[탁계석 칼럼] 히딩크식 선수 발굴로 프로 아티스트 시장 만들어야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평론가] 탁월성의 능력에 대해 기업 ESG 경영의 사회 투자로 수준 끌어 올려야 실효적 시장 지배력이 없는 콩쿠르 우승은 국가적 손실이다. 일반적인 보통 교육이나 전문학교 콘서바토리라 하더라도 그 수준만으로 시장을 지배하는 것은 턱없이 부족하다. 프로 경쟁력이 되려면 콩쿠르 이후부터 본격적인 전문 코치와 유럽 매니저 시스템과 연계하여 시장에서 뛸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콩쿠르는 그야말로 출발에 불과한 것인데 이를 성공으로 여기는 인식들이 만연해 있다. 세계 무대에서 뛰는 글로벌 아티스트들이 나와야 우리 예술가들의 출구가 열리고 이를 통해서 새로운 K 콘텐츠가 개발될 것이다. 우선 인재를 꿰뚫어 보는 각 분야별의 인재 감별 지도자가 필요하다. 인재 개발은 1차, 2차 트레이닝 과정을 거치면서 생활비 지원 및 활동에 필요한 예산을 기업의 ESG 경영과 연계하여 확보하고 그 기금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기업의 인재 발굴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때  해방 이후 정부가 반세기 전에 설정된 스포츠나 과학, 우주 등에만 인재 투자를 하고 있지만 이제 그 방식을 좀 바꿔서 앞으로 대한민국을 먹여 살릴 K 콘텐츠 성장 엔진으로서의 아티스트를 키워내야 희망이 있다. 지금껏 우리를 끌고 온 산업화 시대의 근면, 성실, 가르친 대로 기술이 향상된 아카데미즘을 넘어서 창의성과 독창성이 시장을 만들어 내는 새로운 아젠다가 바로 예술이다. 우리의 보물인  원형 문화를 재해석하고 재가공하는 작곡가에게도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의 공공 기금 지원 방식은 그야말로 기초에 해당하는 것으로 프로 시장과는 거의 무관하다. 지난 30년에 1,300명의 국제 콩쿠르 우승자가 나왔다고 한다. 과연 그 몇 % 가 살아  남은 것일까?  인재를 지속 개발하고 관리하지 못해 사장되는 '탁월한 능력'은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큰 손실이다. 우리가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내고 지구촌 중심 국가로 성장하기 위해선 이제 예술과 문화의 힘이 중요한 때가 왔다. 그동안은 선진국의 기술을 모방하고 따라했지만 이제는 우리가 제시하는 뉴노멀(New normal) 주도력의 당당함을 확보해야 한다. 바야흐로 대중 한류를 넘어 K클래식, K 아츠에서 그 힘이 이미 작동하고 있지 않은가.  이를 알고 투자하는 기업이 선도적 기업이니 이 둘의  결합이 그래서 중요하다.  K클래식이 마인드 100%인 기업을 찾아 나서는 이유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