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72 에콰도르 반려동물 사료 시장동향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72 에콰도르 반려동물 사료 시장동향

– 에콰도르 반려동물 사료 시장 꾸준한 성장세 – –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으로 여기는 인식 확대에 따라 프리미엄 제품도 인기 –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에콰도르에서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다. 에콰도르 통계청(INEC) 자료에 따르면 2010년에는 전체 인구 약 1400만…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71 성장하는 태국 반려동물 제품 및 사료 시장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71 성장하는 태국 반려동물 제품 및 사료 시장

– 2022년 시장규모 1조9000억 원, 연평균 11.3% 성장 – 펫 휴머니제이션 트렌드 확산으로 프리미엄 반려동물 사료∙서비스 및 고급 제품 수요 증가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 시장규모 및 동향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2년 태국 반려동물 제품 및 사료시장 가치는 499억 바트 (약 1조 9천억 원)로 ’18년 대비…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70 다양한 산업에 참가하는 일본 반려동물 용품 시장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70 다양한 산업에 참가하는 일본 반려동물 용품 시장

– 반려동물 사육 수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는 확대되고 있는 추세 생활용품, 자동차, 건설 등 다양 – – 한 산업이 반려동물 관련 시장에 참가하여 반려동물과 보호자를 겨냥한 제품들을 출시 –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충견 하치, 고양이의…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69 반려동물 사료 수출 호조품목 동향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69 반려동물 사료 수출 호조품목 동향

-전 세계적인 반려동물 양육 인구 증가로 반려동물 사료 및 관련 서비스 산업 확장세 -우리나라의 반려동물 사료 주요 수출국은 일본과 동남아·대양주 국가 위주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 품목 정보 및 수출동향 ◦ HS코드/상품명 : HS 230910 / 개나 고양이용 사료(소매용 한정) <HS 230910 시작 HS 10단위 세부…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 세이_68 아르헨티나 반려동물용품 시장동향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68 아르헨티나 반려동물용품 시장동향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아르헨티나 반려동물 시장, 지속성장 추세 유지 전망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해 IoT등을 활용한 스마트 반려동물 용품으로 차별화 전략 필요 ① 상품명·HS Code(6단위) 420100 HS COOD 품목명 420100 동물용 마구(고삐줄, 끈, 무릎받이, 재갈, 안장용 방석, 안장에 다는 주머니, 개용 코트와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여, 어떤 재료이든 상관없다. 230910…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66 반려동물 연관 산업 성장과 함께 특허 획득 중요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66 반려동물 연관 산업 성장과 함께 특허 획득 중요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재택근무가 일상화도면서 반려동물을 양육자가 증가하므로 반려동물 관련 펫 테크, 펫 푸드, 펫케어, 펫 서비스가 성장하고 있다. 반려동물 용품 제조사는 시장에서의 우위를 가지기 위해서는 반려동물에 관련한 제품에 특허의 권리를 확보하는 것이 브랜드를 상승시킬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또한, 유비쿼터스를 융합하여…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67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K-패션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67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K-패션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반려동물 연관시장에서 패션업계가 많은 관심을 가지고 눈 여겨 보고 있다. 반려동물을 친구, 가족과 같이 사람처럼 대하는 사회, 문화적 현상의 트랜드로 펫휴먼제이션(Pet-humanization) 이라는 문화가 형성되었고, 더구나 반려동물 ‘1500’만 시대이기 때문에 시장성이 커지고 이런 사항으로 서비스와 패션 관련 상품이 등장하고 있다. ◈K-패션 ▸한류 영향: 한류 열풍은…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 에세이_65 부엉이를 반려동물로 인정해줄 것을 바라며…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65 부엉이를 반려동물로 인정해줄 것을 바라며…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보호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동물”이란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신경체계가 발달한 척추동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동물을 말한다. 가. 포유류 나. 조류 다. 파충류ㆍ양서류ㆍ어류 중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의 협의를 거쳐 대통령령으로…

[김종우 칼럼]반려동물산업에세이_64 1500만 반려인 시대, 개식용 금지법 환영

[김종우 칼럼]반려동물산업에세이_64 1500만 반려인 시대, 개식용 금지법 환영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지난 9일 ‘개 식용 목적 사육·도살·유통 등 종식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2027년부터는 개 식용 목적으로 한 사육·도살·유통·판매 등이 처벌되며, 식용 목적 도살은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 벌금, 사육·증식·유통은 2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하고 공포일로부터 3년의 유예기간이 주어진다. 12일…

[김종우 칼럼] 미국 반려동물 식품 시장 동향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63 미국 반려동물 식품 시장 동향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식품, 음료를 비롯한 소비재 부문 시장조사 업체인 Packaged Facts의 분석(2022년 9월 기준)에 따르면 미국에서 고급∙신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세를 주도하면서 2021년 399억 달러였던 미국의 반려동물 식품 소매 판매액이 연간 8.8% 증가해 2026년에는 총 60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에는 2020년 및 2021년의 증가세와 대비해볼 때 다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