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의 탁월한 손재주 K 현악기가 시장 주도할 것 – – 세종 시대, 그 때가 지금이라면 노벨상 독점한 창의력과 손 기술 – [강남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봄에 꽃이 필 때 혼자서 피지 않는다. 꽃망울이 터지면 일제히 함께 핀다. 단풍도, 낙엽도 그렇다. 자연 생태계의 이치다. 사람이 하는 과학의…
소비자평가/인물정보/통계/web3 유동성 풀 순위발표
– 한국인의 탁월한 손재주 K 현악기가 시장 주도할 것 – – 세종 시대, 그 때가 지금이라면 노벨상 독점한 창의력과 손 기술 – [강남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봄에 꽃이 필 때 혼자서 피지 않는다. 꽃망울이 터지면 일제히 함께 핀다. 단풍도, 낙엽도 그렇다. 자연 생태계의 이치다. 사람이 하는 과학의…
– 안목 있는 독자와 함께 성장하면서 글로벌로 확대할 것이다 – [강남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저널리즘의 새 지평이 열렸다 시간의 속도만큼이나 언론 환경 변화도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지하철 입구에서 배포하던 타블로이드판 신문을 안다면 이는 이미 노년층에 접어들었을 것입니다. 여성 잡지들과 주요 매체들이 파워를…
[강남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사진=벨라비타 성악오페라 최고위 과정 8기 졸업공연 포스터 ⓒ강남 소비자저널 사랑이 너무 멀어 올 수 없다면 내가 먼저 달려가 꽃으로 서 있을게~ 허림시인의 시와 윤학준 작곡가의 노래’ 마중’ 가사다. “노래가 낫기는 그중 나아 “라고 말한 서정주 시인의 말처럼 시 한 구절이 머리보다 가슴으로 안기는 시간이다. 좋은 시와 선율은 그렇게 우리 안의 근원적인 감성을 일깨우고 위로를 준다. 그 아름다운 예술이 한꺼번에 안기며, 나의 몸과 정신을 발견하게 하는 게 노래이자 음악의 힘이다. 보이지는 않지만 가슴으로 느껴지며 정서적 위안까지 받는 값진 시간이다. 노래 숨결은 더욱이 우리들의 비루하고 소란스러운 시간들을 잠재우고 고요한 정서로 이끈다. 음악과 노래의 기적은 또한 일상속 흥과 자신감을 주고 아름다운 인생을 꿈꾸게 만든다. 그 음악과 노래가 일상속 유일한 휴식이 되고 친구가 되도록 이끄는 클래식 성악 교과 과정이 국내에도 있다. 바로 벨라 비타 문화예술원 성악 최고위 과정이다. 아름다운 노래, 아름다운 인생 !’ ‘벨라 비타 성악 최고위 과정’ 이다. 벨라 비타 문화 예술원이 주관하는 성악 최고위 과정은 지난 2018년 3월 개교이래 1기를 시작으로 8기 졸업을 앞두고 있다. 그동안 벨라비타 수료생으로는 1기에서 7 기 동문 졸업생만하여도 200 여명의 이른다. 수료자들의 활동 영역도 다양해지며,각계 각층 동호회는 물론 합창단과 연주가로 솔리스트 독창자로, 그 범위를 차츰 넓혀 가고 있다. 이번 8 기 수료 졸업공연은 오는 2023년 12월…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K클래식을 알리는 우리 문화 전사들! 투데이뉴스 1위 선스타코리아 1위 중부신문 1위 플러스인뉴스 2위 코리아이슈저널 2위 뉴스인 020 3위 데일리굿타임5위 케이시사타임즈 6위 이런뉴스8위 뉴스체인지 9 1위 [탁계석 칼럼] 예술 상품, 아티스트, 홍보 마케팅 없이는 수익도, 생존도 없다…
투자 대비 효율성 꼼꼼히 계산해야 시장이 뚫린다 [강남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시장 논리에 순응하는 법 배워야 산다 무엇이든 돈을 벌려면 상품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소비자가 상품화되지 않은 것을 선택하거나 선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모르는데 어떻게 구매가 일어나겠는가. 상품의 포장, 홍보, 마케팅은 기업 성공의 본질이다. 작품이든 아티스트든 돈을…
[강남 소비자저널=노유경 칼럼니스트] 독일 남·서쪽 바덴뷔르템베르크 (Baden-Württembergs) 주에 있는 도시 도나우에싱엔은 (Donaueschingen) 위치상으로 보면 스위스 바젤이나 취리히와 가까운 편이고, 높은 산악 지대와 둘러싸인 분지 공간의 지형 때문에 기후 차이가 심하다. 숲이 울창하여 검은 숲이라고 불리우는 슈바르츠발트 (Schwarzwald)는 기원 전 4000년 경부터 사람이 살았다고 한다. 이 숲은 6000 평방 킬로미터가 넘는 면적을 자랑하는, 독일에서 가장 높고 가장 큰 연속 저 산맥이다. 방문객이 가장 많은 휴양지이기도 하다. 현대 음악의 성지, 도나우에싱엔은 이곳 가까이 위치한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 토마스만은 (Thomas Mann 1875-1955) 이미 그의 소설 파우스트 박사 (Doktor Faust 1947)에서 도나우에싱엔을 새로운 음악의 중심지로 불멸화 시켰다. 도나우에싱엔은 1920년대부터 유럽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고, 1921년 퓌르스텐베르크 왕자의 후원으로 „현대 음악을 촉진하기 위한 도나우에싱거 실내악 연주“라는 제목의 뉴 뮤직 페스티벌이 열렸다. 이곳에서 유럽 아방가르드의 수많은 대표자가 현대 음악과 사운드 아트 분야에서 새로운 실험적 형태를 선보였다. 도나우에싱엔 현대음악제는 (Donaueschinger Musiktage) 세계에서 새로운 음악을 위한 가장 오래되고 전통적인 축제 중 하나이다. 이 음악제는 음악 교과서나 음악 역사 속에서 언급되는 세계적인 대표 작곡가와 예술인들이 주류를 이루어 공연하였다. 아놀드 쇤베르크 (Arnold Schönberg 1874-1951)를 중심으로 알반 베르크 (Alban Berg 1885-1935), 안톤 베베른 (Anton Webern 1883-1945), 파울 힌데미트 (Paul Hindemith 1895-1963)의 작품 초연과 함께 현대 실내악의 중심지로 존재하였다. 또한 도나우에싱엔 프로그램에는 실험적인 무작위 음악 (존 케이지 John Cage 1954)과 구체적인 음악 (피에르 셰페르Pierre Schaeffer 및 피에르 앙리Pierre Henry 1953) 그리고 새로운 라디오 연극, 음악 영화, 멀티미디어 프로젝트( 카겔Mauricio Kagel, 슈네벨Dieter Schnebel)의 다양한 아티스트가 사운드 설치 작업도 진행하였다. 1950년대, 도나우에싱엔 현대음악제의 전성기에 걸맞은 새로운 시작이 남·서독일방송 (Südwestfunk)과의 협력을 통해 달성되었으며, 남·서독일방송은 오케스트라를 제공하고 새로운 프로그램 초점을 도입했다. 피에르 불레즈 (Pierre Boelez 1925-2016), 카를하인츠 슈토그하우젠 (1928-2007), 루이지 노노 (Luigi Nono 1924-1990),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Iannis Xenakis 1922-2001) 의 기악 작품이 초연되었고, 그 이후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Krzysztof Penderecki 1933-2020) 와 죄르지 리게티(György Ligeti 1923-2006), 그리고 이후 볼프강 림 (Wolfgang Rihm 1952-)이 오케스트라 초연에 새로운 악센트를 설정했다.…
– 최우정(서울대), 김시형(명지대), 이지수(서울대) 교수 주제 발표 –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학교 사상 초유의 토론회가 열린다. 대학 창작 활성화를 위한 열린 토론회다. 대학의 위기와 맞물려 작곡과 위축, 지방의 학과 폐지 등에 이제 누구도 강 건너 불일 수 없다는 깊은 불안을 안고 있다. 대학이 새로운 방향을 찾아야 한다는 자각이 이번 토론회를 만든 동기다. 서울대 작곡과 최우정 교수는 학교 내의 컬리큐럼 변경이 생각 만큼 쉽지 않다며, 놀라운 공연 현장의 변화에 둔감한 현실을 방치할 경우 창작욕은 감퇴하고 학생은 급감할 것이라며, 이런 한 켠에선 창작에 비전공 젊은층의 관심이 높은 것의 시차를 더 이상 묵과할 수 없어 나선 것이라 했다. 탁계석 K클래식회장은 창작에 그 어떤 경계가 필요한 것인가? 학교 간에 보이지 않는 벽을 허무는 것을 넘어 창작 생산성을 위해 사회의 다양한 네트워크는 물론 글로벌 시장이란 전 세대는 경험조차 하지 못한 진출이 SNS 미디어 환경에선 얼마든 가능하다는 것을 공유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 한 것이라고 기획 의도를 밝혔다. 최우정 교수: 직업 작곡가가 되기 위한 조건 김시형 교수: 미래지향적 작곡가의 기업가 정신 이지수: 클래식 작곡 전공자가 영상음악 감독이 되기까지 사회: 탁계석(예술비평가회장) 발표자 프로필 최우정 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TIMF 앙상블 예술감독 역임 서울시 문화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수상, 동아콩쿠르 작곡부문 1위 김시형 현 명지대학교 아트앤멀티미디어작곡전공주임교수 대학혁신추진단단장.예술학부학부장.대학정책연구센터장 작곡가.디지털 음원제작 프로듀서 이지수 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음악학과 부교수 다수의 영화 및 드라마 음악감독 대종상. 영평상.대한민국영화대상 수상 일시: 2023년 11월 7일 오후 5시~8시 장소: 대학로 예술가의 집 2층 (4호선 혜화역) 주최: K클래식조직위원회. 한국예술비평가협회 후원: 굿스테이지. 문화저널21.더무브. 뮤직리뷰. 강남 소비자저널.…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김 기자 : 쓰는 작품 마다 공전의 히트 인데요, 비결이라도? 지난 20년에 오페라 5편, 칸타타 9편을 만들었죠 그동안 20년에 걸쳐 오페라 5편, 칸타타 9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칸타타의 경우 국립합창단 작품이 5작품이고 그래도 모두 살아 남았습니다. 오페라는 소나기, 메밀꽃 필 무렵, 도깨비, 동물원, 미스킴, 여순 사건을 다룬 바다에 핀 동백 이렇게 다섯 작품입니다. 다행인 것은 작품…
독한협회 한국축제 2023년 Koreanisches Festival 2023 (Deutsch-Koreanische Gesellschaft Hamburg) 독일 엘베강 지류로 남부 홀슈타인과 함부르크를 통과하여 흐르는 길이 56킬로미터 알스터강의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알스터 호수이다. 범선이 가득한 호수 주위는 한가롭게 산책하거나 조깅하는 함부르크 주민들이 있다. 알스터 호수를 향한 창문 안쪽으로 음악이 흐르는 건물이 있다. 함부르크 국립음대(Hochschule für Musik und Theater Hamburg) 이다. 독한협회 함부르크가 (회장: Prof. Dr. Benjamin Pißler) 매년 주최하는 한국 축제가 이곳 함부르크 국립 음대 오케스트라 스투디오에서 2023년 10월 14일 개최되었다. 한독간의 친선 교류 추진과 행사에 목적을 두고, 1984년에 창립된 함부르크 독한 협회는 매년 한국을 알리는 문화행사를 개최해왔다. 이 협회는 경제, 문화, 예술분야 등 폭 넓은 교류를 유도하고 있으며 함부르크를 중심으로 한국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한국 페스티벌의 오프닝을 장식한 음악 그룹 “나비야“는 22년 전, 현 청주시립국악단 수석 단원 나혜경대표 중심으로 창단되어, 전통문화예술의 보존과 전승을 앞장서서 이미 한국뿐만 아니라 프랑스, 독일 등 유럽 곳곳에 초대되어진, 유럽 현지인들에겐 일명 한국에서 오는 ”단골손님“ 음악 단체이다. 청주에서 입국한 4명의 (타악기: 나혜경, 대금:박노상, 바리톤:양진원, 가야금:김정기) 음악예술 사절단은 브라보를 외치며 박수를 선사하는 독일인들 앞에서 용감한 전사와 같이 음악회의 열기에 땀을 흘리며 페스티벌을 열었고 또 미래를 기약했다. 대금 솔로 박노상은 (첫곡:영산회상) 정적으로 움직였던 멜로디를 천천히 유동시키며 공간을 달구었다. 김정기의 김죽파류 가야금산조가 바톤을 단아하게 이어 받았다. 나혜경의 장고 반주와 동행된 “얼시구, 좋다“ 여흥에 관객은 악기와 악기사이를 다시 한번 살펴본다. 우리 가락을 사귀어 보려는 관객의 추임새 같았다. 시간을 옮겨 현대로 진입한 목소리의 주인공은 바리톤 양진원이다. 한국어 가사로 이루어진 재독여성 작곡가 박영희 작품 “내마암” (2017)과 이원주의 창작 가곡 “이화우-배꽃이 떨어진다” (2007-2013)의 정서는 이미 사랑과 이별을 아우르는 마음으로 관객에게 동조되었다. 이어진 장구 솔로 나혜경은 전통 음악의 3박자를 변환하여 단청의 색조를 구사했고 흔들리고 쪼개지는 리듬과 숨을 장구 양판에 흩뿌렸다. 주당을 풀어낸 뒤 다시 집안의 주당을 풀 듯 대금 솔로가 바람을 불렀다. 전통과 현시대를 매듭없이 풀어 내는 대금곡 “대바람 소리“는 대금의 명곡으로 일컬어지며 꾸준이 사랑받은 대금연주자 이상규의 작품이다. 관조적이고 명상적으로 과거와 현재가 직조되어 대나무의 기상과 절개를 나타내는데, 깊어가는 가을의 시간 속에 신석정의 “국화향기”가 젓대의 청공에서 뿜어 나왔다. 그리움으로 또는 호기심이나 문화적 체험과 경험으로 한국 축제에 발걸음을 옮겼던 청중들은 알스터호수에 떠있던 무지개가 녹인 경계없는 에너지를 소통했다. 글쓴이의 개인적인 감동을 하나 덧붙인다면 이번 행사, 세번째로 연주되던 박영희 작품 내마암의 재현이다. 박영희의 마음 시리즈는 1990년 그러니까 33년전에 시작하여 지금까지 자주 언급하고, 재탄생을 거듭하는 중요한 그녀의 작곡 키워드이다. 작년( 2022년) 박영희의 77세 생일 기념 포트레(초상화) 음악회에서 독일 음악 위원회 명예 회원 증명서가 박영희에게 전달되었는데, 그녀는 청중을 향해 “내마음을 오랫 동안 작곡했다. 마음으로 음악을 경청하기 바란다“ 라고 소감을 전달했었다. 만추를 내려놓는 내달11월 30일은 박영희의 78세 생일이다. 루이지노노를 추모했던 송강 정철 시의 마음 멜로디 “구만리”와“고운님“은 (바리톤:양진원) 특별히 오래 머물다 잔영했다. 글: 노유경 Dr. Yookyung Nho-von Blumröder, 쾰른 대학교, 아헨대학교 출강 음악학박사, 공연평론가, 한국홍보전문가 독일, 서울 거주 ynhovon1@uni-koeln.de
– 세계적인 브랜드로 한류 메타버스 실현할 것 – 기술력은 최고인데 우리 것 외면하는 기득권의 한계성 극복해야 누구나 오케스트라 음악을 들어본 분들은 여러 각도에서 이해가 다를 것입니다. 조예가 깊은 분도 있고, 평소 클래식을 그다지 듣지 않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어쨌든 오케스트라는 서양에서 들어온 음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