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노래, 아름다운 인생 !’

[손영미 감성가곡] ‘아름다운 노래, 아름다운 인생 !’

[강남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사진=벨라비타 성악오페라 최고위 과정 8기 졸업공연 포스터 ⓒ강남 소비자저널 사랑이 너무 멀어 올 수 없다면 내가 먼저 달려가 꽃으로 서 있을게~ 허림시인의 시와 윤학준 작곡가의 노래’ 마중’ 가사다. “노래가 낫기는 그중 나아 “라고 말한 서정주 시인의 말처럼  시 한 구절이 머리보다 가슴으로 안기는 시간이다. 좋은 시와 선율은 그렇게 우리 안의 근원적인 감성을 일깨우고 위로를 준다. 그 아름다운 예술이 한꺼번에 안기며, 나의 몸과 정신을 발견하게 하는 게 노래이자 음악의 힘이다. 보이지는 않지만 가슴으로 느껴지며 정서적 위안까지 받는 값진 시간이다. 노래 숨결은 더욱이 우리들의 비루하고 소란스러운 시간들을 잠재우고 고요한 정서로 이끈다. 음악과 노래의 기적은 또한 일상속 흥과 자신감을 주고 아름다운 인생을 꿈꾸게 만든다. 그 음악과 노래가 일상속 유일한 휴식이 되고 친구가 되도록 이끄는 클래식 성악 교과 과정이 국내에도 있다. 바로 벨라 비타 문화예술원 성악 최고위 과정이다. 아름다운 노래, 아름다운 인생 !’ ‘벨라 비타 성악 최고위 과정’ 이다. 벨라 비타 문화 예술원이 주관하는 성악 최고위 과정은 지난 2018년 3월 개교이래 1기를 시작으로 8기 졸업을 앞두고 있다. 그동안 벨라비타 수료생으로는 1기에서 7 기 동문 졸업생만하여도 200 여명의 이른다. 수료자들의 활동 영역도 다양해지며,각계 각층 동호회는 물론 합창단과 연주가로 솔리스트 독창자로, 그 범위를 차츰 넓혀 가고 있다. 이번 8 기 수료 졸업공연은 오는 2023년 12월…

‘탁계석 칼럼’ 100개 언론사 네트워크에서 인기짱, 11개가 랭킹에 올라

‘탁계석 칼럼’ 100개 언론사 네트워크에서 인기짱, 11개가 랭킹에 올라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      K클래식을 알리는  우리 문화 전사들!   투데이뉴스 1위 선스타코리아 1위 중부신문 1위 플러스인뉴스 2위 코리아이슈저널 2위 뉴스인 020  3위 데일리굿타임5위  케이시사타임즈 6위 이런뉴스8위 뉴스체인지 9 1위 [탁계석 칼럼] 예술 상품, 아티스트, 홍보 마케팅 없이는 수익도, 생존도 없다…

[탁계석 칼럼] 예술 상품, 아티스트, 홍보 마케팅 없이는 수익도, 생존도 없다

[탁계석 칼럼] 예술 상품, 아티스트, 홍보 마케팅 없이는 수익도, 생존도 없다

투자 대비 효율성 꼼꼼히 계산해야 시장이 뚫린다   [강남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시장 논리에 순응하는 법 배워야 산다 무엇이든 ​돈을 벌려면 상품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소비자가 상품화되지 않은 것을 선택하거나 선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모르는데 어떻게 구매가 일어나겠는가. 상품의 포장, 홍보, 마케팅은 기업 성공의 본질이다. 작품이든 아티스트든 돈을…

킹콩G.C, “어울림+동행” 展 연다

킹콩G.C, “어울림+동행” 展 연다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예술인들은 열정과 개성이 강하고 그것이 작품으로 고스란히 나타나기도 한다. 질서가 무너진 오늘날 사제간이든 선후배 관계이든 좋은 인성을 바탕으로 서로 소통하고 서로 아끼는 작가들의 잦은 교유가 점점 멀어지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대구수목원 앞 갤러리 킹콩G.C에서는 11월 13일부터 25일까지 2주간에 걸쳐 지역을…

[노유경율모이] 현대 음악의 성지, 도나우에싱엔 (Donaueschingen) 현대음악제에서 „최초“로 5번째 위촉 곡을 초연한 재독 여성 작곡가 박영희 (Younghi Pagh-Paan)

[노유경율모이] 현대 음악의 성지, 도나우에싱엔 (Donaueschingen) 현대음악제에서 „최초“로 5번째 위촉 곡을 초연한 재독 여성 작곡가 박영희 (Younghi Pagh-Paan)

 [강남 소비자저널=노유경 칼럼니스트] 독일 남·서쪽 바덴뷔르템베르크 (Baden-Württembergs) 주에 있는 도시 도나우에싱엔은 (Donaueschingen) 위치상으로 보면 스위스 바젤이나 취리히와 가까운 편이고, 높은 산악 지대와 둘러싸인 분지 공간의 지형 때문에 기후 차이가 심하다. 숲이 울창하여 검은 숲이라고 불리우는 슈바르츠발트 (Schwarzwald)는  기원 전 4000년 경부터 사람이 살았다고 한다. 이 숲은 6000  평방 킬로미터가 넘는 면적을 자랑하는, 독일에서 가장 높고 가장 큰 연속 저 산맥이다. 방문객이 가장 많은 휴양지이기도 하다. 현대 음악의 성지, 도나우에싱엔은 이곳 가까이 위치한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 토마스만은 (Thomas Mann 1875-1955) 이미 그의 소설 파우스트 박사 (Doktor Faust 1947)에서 도나우에싱엔을 새로운 음악의 중심지로 불멸화 시켰다. 도나우에싱엔은 1920년대부터 유럽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고, 1921년 퓌르스텐베르크 왕자의 후원으로 „현대 음악을 촉진하기 위한 도나우에싱거 실내악 연주“라는 제목의 뉴 뮤직 페스티벌이 열렸다. 이곳에서 유럽 아방가르드의 수많은 대표자가 현대 음악과 사운드 아트 분야에서 새로운 실험적 형태를 선보였다. 도나우에싱엔 현대음악제는 (Donaueschinger Musiktage) 세계에서 새로운 음악을 위한 가장 오래되고 전통적인 축제 중 하나이다. 이 음악제는 음악 교과서나 음악 역사 속에서 언급되는 세계적인 대표 작곡가와 예술인들이 주류를 이루어 공연하였다. 아놀드 쇤베르크 (Arnold Schönberg 1874-1951)를 중심으로 알반 베르크 (Alban Berg 1885-1935), 안톤 베베른 (Anton Webern 1883-1945), 파울 힌데미트 (Paul Hindemith 1895-1963)의 작품 초연과 함께 현대 실내악의 중심지로 존재하였다. 또한 도나우에싱엔 프로그램에는 실험적인 무작위 음악 (존 케이지  John Cage 1954)과 구체적인 음악 (피에르 셰페르Pierre Schaeffer 및 피에르 앙리Pierre Henry 1953) 그리고 새로운 라디오 연극, 음악 영화, 멀티미디어 프로젝트( 카겔Mauricio Kagel, 슈네벨Dieter Schnebel)의 다양한 아티스트가 사운드 설치 작업도 진행하였다. 1950년대, 도나우에싱엔 현대음악제의 전성기에 걸맞은 새로운 시작이 남·서독일방송 (Südwestfunk)과의 협력을 통해 달성되었으며, 남·서독일방송은 오케스트라를 제공하고 새로운 프로그램 초점을 도입했다. 피에르 불레즈 (Pierre Boelez 1925-2016), 카를하인츠 슈토그하우젠 (1928-2007), 루이지 노노 (Luigi Nono 1924-1990),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Iannis Xenakis 1922-2001) 의 기악 작품이 초연되었고,  그 이후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Krzysztof Penderecki 1933-2020) 와 죄르지 리게티(György Ligeti 1923-2006), 그리고 이후 볼프강 림 (Wolfgang Rihm 1952-)이 오케스트라 초연에 새로운 악센트를 설정했다.…

학교 밖 창작 공방(工房) 토론회(1)

학교 밖 창작 공방(工房) 토론회(1)

– 최우정(서울대), 김시형(명지대), 이지수(서울대) 교수 주제 발표 –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학교 사상 초유의 토론회가 열린다.  대학 창작 활성화를 위한 열린 토론회다.  대학의 위기와 맞물려 작곡과 위축, 지방의 학과 폐지 등에 이제 누구도 강 건너 불일 수 없다는 깊은 불안을 안고 있다. 대학이 새로운 방향을 찾아야 한다는 자각이 이번 토론회를 만든 동기다. 서울대 작곡과 최우정 교수는 학교 내의 컬리큐럼 변경이 생각 만큼 쉽지 않다며, 놀라운 공연 현장의 변화에 둔감한 현실을  방치할 경우 창작욕은 감퇴하고 학생은 급감할 것이라며,  이런 한 켠에선  창작에 비전공 젊은층의 관심이 높은  것의 시차를 더  이상 묵과할  수 없어 나선 것이라 했다. 탁계석 K클래식회장은 창작에 그 어떤 경계가  필요한 것인가? 학교 간에 보이지 않는 벽을 허무는 것을 넘어  창작 생산성을 위해 사회의 다양한 네트워크는 물론  글로벌  시장이란 전 세대는 경험조차 하지 못한 진출이 SNS 미디어  환경에선 얼마든 가능하다는 것을 공유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 한 것이라고 기획 의도를 밝혔다. 최우정 교수: 직업 작곡가가 되기 위한 조건 김시형 교수: 미래지향적 작곡가의 기업가 정신​ 이지수: 클래식 작곡 전공자가 영상음악 감독이 되기까지​ 사회: 탁계석(예술비평가회장) 발표자  프로필 최우정 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TIMF 앙상블 예술감독 역임 서울시 문화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수상, 동아콩쿠르 작곡부문 1위 김시형 현 명지대학교 아트앤멀티미디어작곡전공주임교수 대학혁신추진단단장.예술학부학부장.대학정책연구센터장 작곡가.디지털 음원제작 프로듀서 이지수 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음악학과 부교수 다수의 영화 및 드라마 음악감독 대종상. 영평상.대한민국영화대상 수상 일시: 2023년 11월 7일 오후 5시~8시 장소: 대학로  예술가의 집 2층 (4호선 혜화역) 주최: K클래식조직위원회. 한국예술비평가협회 후원: 굿스테이지. 문화저널21.더무브. 뮤직리뷰. 강남 소비자저널.…

인터뷰_오페라, 칸타타, 대한민국 제 1의 대본 작가 반열에 오른 탁계석 평론가

인터뷰_오페라, 칸타타, 대한민국 제 1의 대본 작가 반열에 오른 탁계석 평론가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김 기자 : 쓰는 작품 마다 공전의 히트 인데요, 비결이라도? ​ 지난 20년에 오페라 5편, 칸타타 9편을 만들었죠 그동안 20년에 걸쳐 오페라 5편, 칸타타 9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칸타타의 경우 국립합창단 작품이 5작품이고 그래도 모두 살아 남았습니다. 오페라는 소나기, 메밀꽃 필 무렵, 도깨비, 동물원, 미스킴, 여순 사건을 다룬 바다에 핀 동백 이렇게 다섯 작품입니다. 다행인 것은 작품…

(주)유디유소프트 조정태여천지사장과 인터뷰

(주)유디유소프트 조정태여천지사장과 인터뷰

[강남구 소비자저널=정현아 기자] (주)유디유소프트(대표이사 이성상, 이하 이 대표)는 지난 12일(목) 오후 3시 전남 여수시 소재  유디유소프트 여천지사에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오픈식을 개최했다. (주)유디유소프트 설명회에 이어 여천지사장(조정태)의 임명식이 이루어졌다. (주)유디유소프트 조정태여천지사장과 인터뷰 기자 :  안녕하십니까  전 세계에 계신 시청자 여러분~~ 오늘은 강남구 소비자저널에서 특별 인터뷰를 나왔습니다 (주)UDU소프트 여수 전체를 총괄할 수…

(주)유디유소프트 we2net, G.O.M 플랫폼,육안 3D 체험관 소개해

(주)유디유소프트 G.O.M 플랫폼등 소개해

[강남구 소비자저널=정현아 기자] (주)유디유소프트(대표이사 이성상, 이하 이 대표)는 지난 12일(목) 오후 3시 전남 여수시 소재  유디유소프트 여천지사에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오픈식을 개최했다. 이날 권영진 전무이사(이하 권전무)는 기업설명에서 “(주)유디유소프트는 메인넷 알고리즘 개발회사로 주된 사업으로 나만의 금융플랫폼 we2net,  음악투표&갓 보드 챠트 G.O.M 플랫폼, 한국총판을…

제 6회 한국 반려동물 페스티벌 10월 15일 폐막

제 6회 한국 반려동물 페스티벌 10월 15일 폐막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2023년 10월 13일부터 15일까지 3일 간 경기도 구리시 한강 시민공원에서 열리는 제 6회 한국 반려동물 페스티벌이 성황리에 잘 마쳤다. 한국 반려동물 페스티벌은 반려인과 비 반려인 모두가 참여하는 축제로 동물 보호와 복지, 생명 존중에 관한 시민 의식을 높이고 동물과 공존하는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제 6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