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보호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동물”이란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신경체계가 발달한 척추동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동물을 말한다. 가. 포유류 나. 조류 다. 파충류ㆍ양서류ㆍ어류 중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의 협의를 거쳐 대통령령으로…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 에세이_65 부엉이를 반려동물로 인정해줄 것을 바라며…](https://blog.kakaocdn.net/dn/cBqXFu/btsDomRYvh7/z7g8kAK2kZUTU8mkgvkds0/img.jpg)
소비자평가/인물정보/통계/AI-board순위발표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보호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동물”이란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신경체계가 발달한 척추동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동물을 말한다. 가. 포유류 나. 조류 다. 파충류ㆍ양서류ㆍ어류 중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의 협의를 거쳐 대통령령으로…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전 청화대 행정관 출신인 스마트제조연구조합 강성주 이사장이 지난 8일(월) 오후 4시 서울시 중구 소재 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개최된 ‘강성주 출판기념 북콘서트’ 후 인터뷰 메시지를 남겼다. 김 기자 : 『AI 디지털 국가전락』 북콘서트 성료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책을…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식품, 음료를 비롯한 소비재 부문 시장조사 업체인 Packaged Facts의 분석(2022년 9월 기준)에 따르면 미국에서 고급∙신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세를 주도하면서 2021년 399억 달러였던 미국의 반려동물 식품 소매 판매액이 연간 8.8% 증가해 2026년에는 총 60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에는 2020년 및 2021년의 증가세와 대비해볼 때 다소…
[강남구 소비자저널=정현아 기자] 새해 24년 1월 7일(음력 11월 26일) 일요일 평소 보다는 한 시간 가량 늦은 7시 경 눈을 떳다. 그런데 언제부터 인지 창가 너머에서 나를 쳐다 보고 있었던 듯한 그믐달을 창가 너머로 마주했다. 달빛에 이끌려 마당으로 나갔고 사진을 찍으며 달을 관찰하며 시를…
I. 쟁의행위 이해 II. 태업 III. 준법투쟁 IV 직장점거 V. 피케팅 VI. 종합의견 I. 쟁의행위 이해 노동3권은 헌법이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에 해당이 된다. 사용자가 노동조합의 쟁의행위로 인하여 손해를 입은 경우에 노동조합과 근로자에게 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노조법 제3조). 노동조합이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한 집단적 행동은 형법 제20조에 의한 정당행위로 행사처벌을…
[강남구 소비자저널=손영미 칼럼니스트] 세계 최정상 오케스트라 중 하나인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공연이 올해도 어김없이 2024년 1월 1일 저녁 7시 메가박스 영화관에서 생중계 상영되었다. 매년 클래식 음악의 대표 브랜드가 된 빈필만의 영화 같은 클래식 공연으로 올해도 그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때를 맞추어 빈에 가서 듣지 못해 큰 아쉬움이었지만 … 라이브 영상으로 그 감동을 놓치지않았다. 무엇보다 새해 평화와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새해 첫날 가장 먼저 열리는 콘서트답게 화려한 꽃 장식이 눈에 띠었다. 매년 황금홀 슈트라우스 일가와 함께 무지크페라인에서 1월 1일 빈 현지시각, 오전 11시 15분부터 약 150분간 열렸다. 전 세계 100여 개 국에서 중계되는 공연으로,…
▲사진=탁계석 회장의 질의에 답하고 있는 박영구 대표 ⓒ강남구 소비자저널 – 화덕영구피자 예술과 융합해 시장 개척에 나선다 –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은정 대표기자] 지난 3일(수)오후 1시경 케이클래식 탁계석(음악 평론가/한국예술비평가회) 회장이 서울시 서초구 소재 화덕영구피자 본사를 찾아 화덕 오븐기를 개발한 화덕영구피자 박영구 행정대표와 만나 일문일답 시간을 가졌다. ▲사진=인터뷰 후…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하늘의 별만큼이 많았을 피아니스트가 다시 살아난다 피아니스트에게서 피아노는 누구일까? 자기 몸이자, 분신이자 , 생명이라 할 수 있다. 그 피아노를 통해 자기의 꿈과 사랑을 표현했다. 숱한 피아니스트가 유학과 콩쿠르를 따서 금의환향했다. 독주회, 협주곡을 하면서 피아노로 죽을 때까지 피아노 치는…
[강남구 소비자저널=탁계석 칼럼니스트] 크리에이티브(Creative), 아는 만큼 열린다 서양 클래식, 국악, 오늘의 현대음악 K클래식이 공존하는 생태계 창조성이 발화하려면 그 뿌리가 되는 소재에 대해서 알아야 크리에이티브, 즉 창조가 생깁니다. 케이팝을 아시나요? BTS를 아시나요? 아니 케이팝을 모르는, BTS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요? 미개 민족이 사는 작은 섬에까지 다 전파가 되었으니 인류 모두가…
근로기준법의 연차유급휴가(제60조) 규정에 따르면, 1년간 근무한 근로자에 대해 11개의 연차휴가를, 2년차에 최초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15일의 유급휴가가 주어진다. 3년 이상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매 2년에 대해 1일의 유급휴가가 가산되고 최대 25일 까지 늘어난다. 하지만 매년 발생한 연차휴가를 다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미사용 연차유급휴가에 대해 사용자는 통상임금으로 보상해야 한다. 우리나라는…